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베트남 무역구조2

63. (베트남) 무역 구조 (2) 2. 무역 구조 (1) 수출·수입·무역수지 추이 과거에 무역 적자국이었던 베트남은 2012년에 20년만에 무역흑자가 된 이후 흑자 분위기로 바뀌고 있습니다. 베트남 통계 총국(General Statistics Office)에 의하면 2018년 수출액은 2,435억 달러로 과거 최고가 되어 무역 흑자액은 68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2008년에는 왕성한 국내 수요에 따라 자본재 수입이 많아져 명목 GDP의 18%에 해당하는 180억 달러의 무역 적자를 기록했지만 2009년 한국 삼성전자가 휴대전화 생산을 시작함에 따라 수출이 증가해 무역 수지는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2015년에는 한국, 중국, 싱가포르로부터 전기기기 및 통신기기(부품 포함)의 수입이 증가했기 때문에 4년 만의 적자가 되었지만, 이듬해 이후 .. 2022. 7. 29.
62. (베트남) 산업과 무역 구조 (1) 1. 산업 구조 도이모이 정책이 시작된 1980년대 중반 이후 베트남 경제의 산업구조를 보면 ①제1차 산업의 GDP 구성비의 저하 ②제조업 부문을 중심으로 한 제2차 산업 비율의 상승 ③제3차 산업의 높은 점유율의 지속 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질 GDP의 기준과 산업별 GDP 구성 요소의 변경이 있었기 때문에 산업별 구성비의 연속성을 판단하기에는 조심스럽지만 제1차 산업은 1985년 34.7%에서 2018년의 16.2%로 거의 일관되게 비율이 감소했습니다. 제2차 산업에 포함된 제조업의 구성비는 GDP 계산 기준 변경의 영향을 제외하면 해마다 상승합니다. 2009년에는 계산 기준 변경 이외에는 1991년 이래 18년 만에 전년 수준을 밑돌았습니다만 이후 다시 상승으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제조업의 구.. 2022. 7.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