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은 최근 몇 년간 디지털 전환과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에서 눈에 띄는 성장을 이루며 동남아시아의 디지털 허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장은 정부의 전략적 정책,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 그리고 국제 사회와의 협력이 조화를 이루면서 가능해졌습니다.
1. 정부의 디지털 전환 추진 전략
베트남 정부는 2020년 「2030년 비전, 2025년 목표 국가 디지털 전환 프로그램」을 승인하며 사회 전반의 디지털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전자정부 구축, 디지털 경제 및 사회 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2030년까지 과학기술 도입을 가속화하여 생산성과 효율성을 대폭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정부는 또한 디지털 행정 절차 개선, 공공 데이터 활용 확대, 중소기업을 위한 디지털 인프라 지원을 통해 전반적인 디지털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2. ICT 산업의 성장과 경제적 기여
베트남의 ICT 산업은 국가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2022년 기준으로 ICT 산업 매출은 1,480억 달러로 전년 대비 8.7% 증가했으며 디지털 기술 기업 수는 약 7만 개로 9.5% 증가했습니다. 또한 ICT 부문이 국가 GDP에 기여하는 비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하드웨어 및 전자제품 수출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낭시의 IT 산업은 최근 5년간 연평균 8%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2년 총수익이 14억 달러에 도달했습니다. 이처럼 베트남의 주요 도시들은 ICT 산업을 중심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이는 향후 글로벌 IT 허브로의 도약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3. 국제 기업과의 협력 및 투자 확대
베트남은 국제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디지털 전환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2024년 9월, 베트남과 미국 기업들은 에너지,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 분야에서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예를 들어 Sovico Group은 Supermicro와 AI 및 데이터 센터 구축 협약을 맺었으며 Vietjet은 Honeywell Aerospace Technologies와 11억 달러 규모의 협력을 추진했습니다.
또한 2024년 12월에는 싱가포르의 Keppel과 베트남의 Sovico Group이 새로운 해저 광섬유 케이블 개발을 논의하면서 지역 데이터 센터 산업 강화를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협력은 베트남의 ICT 산업이 글로벌 기술 기업들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향후 더욱 활발한 투자와 협력이 이루어질 것임을 보여줍니다.
4. 인적 자원 개발과 디지털 격차 해소
베트남 정부는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는 데 필요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IT 및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직업 훈련이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외 기업들과 협력하여 우수 인재를 배출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일부 중소기업과 지역 사회에서는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인터넷 인프라와 디지털 교육 기회의 불균형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디지털 기술 교육을 강화하고 디지털 인프라 보급을 확대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5. 미래 전망과 도전 과제
베트남은 디지털 전환과 ICT 산업 발전을 통해 경제 성장을 도모하고 있지만 몇 가지 해결해야 할 도전 과제도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2024년 11월 미국 기술 기업들은 베트남의 데이터 보호 및 전송 제한 관련 법률이 데이터 센터와 소셜 미디어 운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따라서 베트남 정부는 법적·제도적 장벽을 완화하고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정책을 마련하여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사이버 보안 강화, 디지털 금융 확대, 스마트 도시 개발과 같은 전략적 과제들이 디지털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결론
베트남은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추진, 국내외 기업들의 참여, 그리고 국제 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디지털 전환과 ICT 산업 발전을 빠르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향후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의 주요 디지털 허브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으며 지속적인 투자와 혁신이 이를 더욱 뒷받침할 것입니다.
참고 출처
- [Vietnam's leader Lam meets US corporations, pledges to boost tech economy](https://www.reuters.com/business/vietnams-leader-lam-meets-us-corporations-pledges-boost-tech-economy-2024-09-25/)
- [Vietnam says Musk's SpaceX plans $1.5 bln investment in country](https://www.reuters.com/technology/space/vietnam-govt-says-spacex-plans-15-bln-investment-country-2024-09-26/)
- [Vietnam, US firms sign MoUs on energy, AI, data centre, Vietnam govt says](https://www.reuters.com/business/vietnam-us-firms-sign-mous-energy-ai-data-centre-govt-2024-09-24/)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1. 베트남 EPE기업, 관세조사 강화 (0) | 2025.04.10 |
---|---|
280. 미국의 베트남 관세 부과와 국제 사회의 반응 (0) | 2025.04.09 |
278. 2025년 베트남 법인 설립 가이드: 절차, 비용, 그리고 미-베 무역 관세 이슈 (0) | 2025.04.05 |
277. 2025년 베트남 산업단지 트렌드(한국 기업이 주목해야 할 변화) (0) | 2025.03.31 |
276. 베트남 비자 종류 및 신청 방법 (1) | 2025.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