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해방의 날(Liberation Day)' 연설에서 「모든 수입품에 최소 10%의 관세를 부과」하고 일부 국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상호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중 베트남은 「46%의 관세」를 부과받게 되어 국제 사회와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1. 미국의 관세 부과 발표와 그 배경
트럼프 대통령은 연설에서 미국의 무역 적자를 해소하고 국내 제조업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이러한 관세 부과를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베트남은 46%의 높은 관세율을 적용받게 되었으며 이는 미국이 베트남의 무역 관행을 불공정하다고 판단한 결과입니다.
2. 베트남의 대응과 국제 사회의 반응
▶ 베트남 정부의 즉각적인 조치
베트남 정부는 미국의 결정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하며, 「관세 시행 연기와 협상을 요청」했습니다. 4월 4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 또 람(To Lam)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0%로 인하할 의향」을 밝히며 상호 호혜적인 무역 관계를 구축하자고 제안했습니다.
▶ 국제 사회의 반응
미국의 관세 부과 결정은 전 세계적으로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유럽연합(EU)은 이러한 조치를 "불법적"이며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였고, 중국은 "경제적 괴롭힘"이라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한국과 일본 또한 "매우 유감스럽다"며 협상을 통한 해결을 촉구했습니다.
3. 한국과 일본의 대응
▶ 한국의 대응
한국 정부는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며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장관은 "미국과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일본의 대응
일본 정부는 "매우 유감스럽다"며 「미국과의 대화를 통해 문제 해결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미국과의 무역 관계에서 「상호 이익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협상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4. 현재 상황과 향후 전망
현재 베트남은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관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 측은 베트남의 제안에 대해 "불충분하다"며 추가적인 조치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베트남은 「미국산 제품의 수입 확대」, 「비관세 장벽 완화」 등의 추가적인 양보를 통해 협상 타결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한편 한국과 일본은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자국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확대」 등의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일본은 「미국과의 무역 불균형 해소를 위한 다양한 조치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5. 결론
미국의 갑작스러운 고율 관세 부과는 베트남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각국은 이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베트남은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문제 해결을 시도하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 또한 자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향후 이러한 무역 갈등이 어떻게 전개될지는 예측하기 어렵지만, 각국의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응이 중요한 시점입니다.
참고 기사:
- [Vietnam regrets US's decision to impose 46% tariffs](https://e.vnexpress.net/news/news/politics/vietnam-regrets-us-s-decision-to-impose-46-tariffs-4869825.html)
- [Vietnam offers to remove all tariffs on US after Trump action](https://fortune.com/2025/04/06/vietnam-remove-tariffs-us-imports-trump-duties-liberation-day/)
- [South Korea's acting president calls for talks with US over tariffs](https://www.reuters.com/world/asia-pacific/south-koreas-acting-president-orders-emergency-measures-over-us-tariffs-2025-04-02/)
- [East Asia tries a mix of measures to counter U.S. tariffs as markets suffer]( https://www.japantimes.co.jp/business/2025/04/07/markets/tariff-asia-reactions/)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1. 베트남 EPE기업, 관세조사 강화 (0) | 2025.04.10 |
---|---|
279. 베트남의 디지털 전환 및 ICT 산업 성장 (1) | 2025.04.07 |
278. 2025년 베트남 법인 설립 가이드: 절차, 비용, 그리고 미-베 무역 관세 이슈 (0) | 2025.04.05 |
277. 2025년 베트남 산업단지 트렌드(한국 기업이 주목해야 할 변화) (0) | 2025.03.31 |
276. 베트남 비자 종류 및 신청 방법 (1) | 2025.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