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베트남 진출 어드바이스2 188. 베트남에 진출한 기업들의 조언(4) ● 소비자의 가치관·눈높이에 맞출 수 있는지 중요 최근에는 외국계 메이커가 제조 공장 설립 뿐만 아니라 베트남 시장에서의 판매를 목적으로 진출하는 케이스가 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는 내구 소비재 메이커입니다만 이 분야에서 해외의 제품이 얼마나 소비되고 있는지 확실하게 파악되고 있지 않습니다. 베트남의 풍습을 이해하지 못하면 제품을 판매가 쉽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음식에 관해서 보면 베트남에서는 젊은이라도 토스트나 시리얼 등의 서양식보다 아침부터 국수를 먹는 편입니다. 미국계 햄버거 체인 등의 패스트푸드의 점포수도 적은 편입니다. 이러한 그들에게 「이거 좋네」하고 생각하게 만들지 못하면 식생활을 바꿔보거나 도전은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또 세탁기를 봐도 40%정도 보급된 상황입니다만 근본적으로 .. 2023. 2. 18. 186. 베트남에 진출한 기업들의 조언(2) ● 필요한 운영 자금은 5년 치 정도 저희 회사의 자금 조달은 전액 모회사로부터의 증자로 충당하고 있습니다. 미국 달러로 송금을 받아 필요할 때마다 그에 맞춰 환전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주문 제조업이라 생산량은 납입처의 주문량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사업 계획을 세우기 어려워 회사 설립부터 5년 정도의 필요한 자금을 미리 준비해 둘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북부와 남부의 사람은 사이가 나쁠까요? 베트남에서는 흔히 「남부 사람과 북부 사람은 궁합이 맞지 않는다.」고 합니다만 개인적으로도 이 표현이 어느 정도는 맞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북부 사람이 남부 사람을 아래로 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남부에서 북부로 일하러 가는 사람은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특히 여성들이 그렇다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국가와 .. 2023. 2.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