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저출산 인구법에 대한 조짐이 최근 구체화되고 있습니다. 2025년 6월 초, 베트남 정부는 수십 년간 유지된 ‘가구당 2자녀 제한 정책’을 공식 폐지하고, 첫 인구법(Population Law) 제정을 본격 착수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노동력 감소, 고령화 사회 진입이라는 인구 문제에 맞서기 위한 종합 대책으로 해석됩니다.
1. 가구당 2자녀 정책 폐지 배경
● 1988년부터 시행된 ‘두 자녀 정책’은 당시 여성 1인당 출산율 4명 이상 급증을 통제하기 위한 방편이었습니다.
● 그러나 최근 2024년 기준 합계출산율이 1.91명, 호찌민시 등 도심 지역은 1.39명까지 떨어져 인구 구조 붕괴의 우려가 커졌습니다.
● 이에 6월 3일 국회 상임위원회가 가구당 자녀 수 자유 결정을 내용으로 한 개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2. 첫 인구법 제정 착수
● 단순 정책 폐지에 그치지 않고, ‘첫 인구법(Population Law)’ 초안을 편성 중입니다.
- 1단계: 지역·계층 특성에 맞춘 출산율 회복 전략
- 2단계: 임신·신생아 건강, 유전질환·기형 예방, 조기 교육 등 인구 질 개선 중심.
● 보건부 초안은 ‘출산 때와 자녀 수를 부부 스스로 결정할 권리 보장’ 등 자율적 인구 조절 원칙을 법제화합니다.
3. 저출산·고령화 대응 흐름
● 베트남은 2039년 인구 황금기 종료, 2054년부터 인구 감소 전망
● 이미 호찌민, 하노이 등 도심은 낮은 출산율로 인해 사회복지·노동력 부족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 이와 맞물려 각종 인센티브 정책도 시행 중입니다.
- 예: 두 자녀 출산 여성에 사회주택 우선 입주권 제공
-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금전 보조, 증서 수여 등 출산장려책 강화
4. 지역 간 맞춤형 정책
● 인구 밀집 도시와 농촌 지역의 정책 수요 차이를 반영하여 맞춤형 전략을 설계 중입니다.
● 예산 배정, 인프라, 주거, 보건·영양 서비스 지원 등 지역 특성 기반 대응이 핵심 목표입니다.
5. 향후 전망과 시사점
● 2025년 내 국회 제출 완료, 이후 실질적 법제화와 예산 투입 단계가 시작됩니다.
● 한국 독자에게 시사하는 점은:
- 저출산·경제성장 연결구조,
- ‘출산 권리 → 법적 권리’ 승격이라는 제도적 변화,
- 예방적 정책 설계 vs. 사후 대응 정책의 전환입니다.
● 특히 창업 준비자와 투자자는 베트남의 인구 구조 변화가 노동시장, 소비구조, 부동산 등 경제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베트남은 37년간 유지된 인구 통제 정책 종료 → 첫 인구법 제정 착수 → 맞춤형, 통합적 출산장려 및 고령화 대응 체계 전환이라는 중요한 전환점에 섰습니다. 한국과 비교했을 때, 법제화된 인구 정책의 철학적 방향 전환이라는 측면에서 특히 주목할 만합니다.
베트남, 2025년 첫 ‘인구법’으로 저출산·고령화에 법적 대응 전환을 시작하며 미래 지속가능 구조를 짜기 시작했습니다.
[apnews.com]
[timesofindia.indiatimes.com]
[theguardian.com]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 청소년 비만율 증가와 정부 정책 대응 (0) | 2025.06.17 |
---|---|
하이퐁 레찬구 맨션: Gamuda Land (5) | 2025.06.11 |
미국의 베트남에 대한 '중국 경제 의존 축소' 압박과 베트남의 대응 (1) | 2025.06.06 |
일본의 베트남 원전 진출과 건설 시기 논란 (0) | 2025.06.03 |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의 베트남 원자력 협력 관련 방문 (0) | 2025.05.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