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외국 기업의 자금 조달 현황
베트남에 진출한 외국계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 ①현지 금융기관으로부터 현지 통화(베트남동)나 외화(달러, 원 등)를 차입(단, 외화 차입은 외화 수입이 있는 기업만 가능) ②해외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 ③모회사에서 출자(증자 등)나 모회사·그룹 회사로부터의 차입(모자 대출) ④주식 상장 ⑤사채의 발행 등 모두 인정됩니다.
그러나 실제 조달 수단으로는 ③ 주로 모회사로부터의 출자나 모자 대출입니다. 신규로 진출 시에는 모회사로부터 조달하고 사업 확대에 따른 운영 자금이나 새 공장 건설에 따른 자금이 필요한 경우에는 은행 차입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사업이 궤도에 오른 뒤에는 사내 이윤(세금·배당금 등 사외(社外)에 유출된 부분을 뺀 나머지 이윤)을 설비 투자 기초 자금으로 하고 있는 기업이 많이 있었습니다.
차입 금액은 투자 허가액의 범위 내라면 제약은 없고 업종에 의한 규제도 없습니다. 그러나 중장기 차입의 경우 차입 총액 (국내·해외 포함)은 회사 설립시 투자 등록 허가서에 기록된 총투자액과 자본금의 금액의 차액 내로 한정됩니다. 따라서 차입 금액이 상한 금액을 초과하는 차입을 하는 경우 투자 등록 증명서에 기재된 총 투자액을 미리 증액해야 합니다.
2. 베트남 현지 상업 은행에서 차입
외국 기업은 지역은행, 외국은행을 불문하고 베트남 국내에 존재하는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이 가능합니다. 또한 베트남 동, 외화(상기한 조건 있음) 모두 인정됩니다. 차입 기간은 투자 라이센스에 따라 결정된 사업 잔여기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외국계 기업 사이에서도 베트남 국내용 매출 구성비가 높은 기업은 환율 위험을 낮추기 위해 베트남 동 차입을 선택하여 그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1) 관련 규정
상업은행 부문의 경우 베트남 국가은행(State Bank of Vietnam, SBV)이 대출 성장률 목표를 마련했습니다. 이것은 많은 은행들이 대출을 늘려 불량 채권이 급증한 2012년에 도입된 총량 규제이며 2019년의 목표치는 「전년 대비 14% 증가」이었습니다. 각 상업 은행은 그 전해의 성적에 따라 4 개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각 그룹의 기준에 따라 성장률에 맞도록 대출을 제어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4년에는 단일 고객에 대해 은행이 자기 자본의 15 %를 넘는 융자는 불가능한 대출 규제가 도입되었습니다. 관련 기업을 포함한 기업 그룹으로서는 대출 가능금액은 자기 자본의 25%까지로 규제됩니다. 차용자에게는 총량 규제, 대출 규제로 대규모 융자를 받을 수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사업 확대에 따라 자금 조달상의 제약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베트남에서는 동일한 기업 그룹 간의 그룹 금융(현금 관리 시스템(CMS))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그룹 금융을 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금융기관의 라이센스를 취득해야 한다는 SBV의 판단에 따라야 합니다. 베트남 국내에서만 20사 가까이의 계열사를 가진 기업 그룹도 있지만 이 기업은 자금의 효율적인 운용이 안 되는 상태입니다.
베트남에서는 외화 수입이 없으면 외화차입을 할 수 없습니다. 또한 베트남 국내에서 결제는 베트남 동으로 해야 합니다. 판매 가격(동)을 미국 달러의 변동에 연결시켜 실질적으로 미국 달러를 판매 금액으로 하고 있어도 외화 수입이 없다고 간주되는 점에 주의해야 합니다. 수출 가공기업(EPE)은 외국 취급으로 달러 지급 결제가 가능하지만 외화로 차입한 자금은 용도가 정해져 있습니다. 또한 EPE 이외의 기업이라도 수출을 위한 수입 결제 ·국내 결제, 제조 원가 등의 운영 자금이나 판매 관리비 등의 영업 비용(단기)에 한하면 외화 차입은 인정됩니다. 단 국내 EPE용 판매에 대해서는 그 자체가 수출로 간주되지 않으며 해당 판매 제품의 생산에 사용한 수입 부자재에 대한 외화 차입이 인정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2019년 9월 이후에는 수입 설비 결제를 위한 장기 차입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국내 장기 외화 차입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해졌습니다.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7. (베트남) 자금 조달 (3) (2) | 2022.09.11 |
---|---|
106. (베트남) 자금 조달 (2) (0) | 2022.09.10 |
104. (베트남) 자본 시장(2) (2) | 2022.09.08 |
103. (베트남) 금융 제도 (5)와 자본 시장 (0) | 2022.09.07 |
102. (베트남) 금융 제도 (4)와 금융 시장 (0) | 2022.09.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