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제 포스트의 「자본시장 (1) 주식시장」에서 이어집니다.
2022.09.07 - [분류 전체보기] - 103. (베트남) 금융 제도 (5)와 자본 시장
2019년 베트남 주식시장은 큰 전환기를 맞이했습니다. 1월 총리 결정(No.32/QD-TTg)에서는 호치민 증권 거래소와 하노이 증권 거래소를 통합하여 베트남 증권 거래소를 설립하는 것이 결정되었습니다. 이어 2월의 총리 결정(No.242/QD-TTg)에서는 증권시장 개혁이 나왔습니다. (표01)
해당 총리 결정 8 항목 중에서도 「1. 법적 기반 강화」는 신증권법의 성립·시행을 메인으로 했습니다. 현재의 증권법은 2006년에 성립된 것으로 2010년에 부분 개정되었지만 이후에도 베트남 주식시장의 급성장을 감안해 다시 개정을 거듭해 2020년부터 시행되었습니다.
증권 거래소 통합에 대한 자세한 내용도 베트남 증권거래소의 시장 구분에 맞춰 상장 기준의 재검토가 이루어질 전망입니다.
(표01) 증권시장 개혁 항목(No.242/QD-TTg)
1. 법적 기반 강화 | 5. 증권 거래소 재편성 |
2. 거래상품의 질 향상 | 6. 시장의 감독능력·운용 강화 |
3. 증권시장 투자자층 육성 | 7. 증권시장의 국제평가 향상 |
4. 증권 업계의 구조 개혁 (재편) | 8. 증권 업계 단체의 역할 강화 |
(출처) 각종 자료로부터 작성
(2) 채권 시장
Asia Bonds Online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2019년 6월 말 베트남 채권 시장 규모는 자국 통화가 1,234조 동(529억 달러), 외화가 30억 달러였습니다. 이 중 국채 (중앙은행채 등을 포함)는 자국 통화의 약 90%, 외화의 약 65%를 차지했습니다. 베트남 채권 시장은 해마다 몸집이 커져갔으며 특히 자국 통화로 이루어진 국채 시장 (중앙 은행채 등을 포함)은 2008년부터 2018년에 걸친 10년간 연이율 18.2%의 페이스로 증가했습니다.
베트남의 채권 매매는 거래소에서의 거래가 원칙이며 HOSE와 HNX 양쪽 모두 채권이 상장되어 있으나 HNX는 채권 거래의 중심 시장이 되어 있습니다. 2019년 9월 발행 잔액이 있는 베트남 국채에는 5년 채, 7년 채, 10년 채, 15년 채, 20년 채, 30년 채가 있습니다. 국채 발행 잔액은 2019년 6월 말에 932조동(약 400억 달러)이었습니다.
유통시장에서의 채권수익률은 잔존기간이 1~3년에서 2.5~3.0%, 5~7년에서 3.0~3.5%, 10년 채권은 4.0%, 30년 채권은 5.3% 전후입니다. (2019년 9월 말)
:: Cashless 결제 증가
은행 계좌가 좀처럼 보급되지 않은 베트남에서는 스마트 폰의 높은 보급률을 활용하여 Cashless 결제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MoMo(베트남 최대 점유율), Viettel Pay(휴대 통신 회사 Viettel), Zalo Pay (카카오톡과 같은 SNS 대기업 Zalo), Samsung Pay(Samsung), AutoPay(IT 대기업 FPT), Payoo(NTT 데이터 자회사) 등 다양한 사업자가 Cashless 결제를 하고 있으며 모두 은행 계좌 필요하지 않습니다. (편의점에서 입금 가능) 이용 가능 점포수가 많고 결제 속도가 빠르며 타 앱과도 제휴가 가능하고 할인이나 캠페인 등 여러 장점으로 사용자를 모으고 있습니다. 베트남에는 새로운 것을 저항 없이 받아들이는 문화가 있다는 것 외에도 베트남 동은 지폐의 자릿수나 종류가 많고 휴대 하기에도 부피가 커서 Cashless는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6. (베트남) 자금 조달 (2) (0) | 2022.09.10 |
---|---|
105. (베트남) 자금 조달 (1) (2) | 2022.09.09 |
103. (베트남) 금융 제도 (5)와 자본 시장 (0) | 2022.09.07 |
102. (베트남) 금융 제도 (4)와 금융 시장 (0) | 2022.09.06 |
101. (베트남) 금융 제도 (3) - 상업 은행 (0) | 2022.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