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121. (베트남) 베트남에 대한 기업의 견해

by KVT 2022. 10. 1.
반응형

1. 진출국으로 주목받는 베트남

 외국 기업들은 사업 진출국으로 베트남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이미 해외 진출 경험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국제 협력 은행이 매년 실시하는 해외 직접 투자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베트남은 중국, 인도, 태국에 이어 네 번째였습니다. 답변에 응한 제조업체의 약 3분의 1이 향후 3년 정도를 봤을 때 유망 사업 진출국으로 베트남을 꼽았습니다. 인구 대국으로 상위에 이름을 올리며 베트남은 유망한 진출처의 하나로서 계속 외국계 기업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2. 베트남을 유망하다고 하는 이유와 기업이 지적하는 것

 위에서 베트남을 유망하다고 대답한 약 70%의 기업이 그 이유로「마켓의 성장성」을 꼽았습니다. 그 다음이 「저렴한 노동력」과 「우수한 인재」입니다. 이와 같이 외국 제조업들은 베트남의 시장으로서의 성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표01)

 

 

(표01) 중기적으로 진출국으로 유망하다고 생각되는 이유(상위 3 항목)

  베트남 중국 인도 태국
1 현지 시장의
향후 성장성
 70.1% 현지 시장의
향후 성장성
72.9% 현지 시장의
향후 성장성
82.2% 현지 시장의
향후 성장성
55.5%
2 저렴한 노동력 52.1% 현지 시장의
현재 규모
63.8 % 현지 시장의
현재 규모
35.5 % 현지 시장의
현재 규모
29.7%
3 우수한 인재 25.0% 제조업의
공급 거점으로
24.0% 저렴한 노동력 28.4% 제3국 수출 거점으로 25.8%

(주) 퍼센트의 숫자는 해당 국가를 유망하다고 생각하는 기업 중 그 이유를 답한 기업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한편 베트남을 진출처로 유망하다고 생각하는 기업이 이 나라들에서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는 항목은 아래의 (표02)입니다. 이 조사에서는 「노동 비용의 상승」이라고 회답한 기업이 가장 많은 34.6%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법제도의 운영이 불투명하다.」고 답한 기업도 32.3%에 달했습니다. 베트남에서는 법률의 변경이나 시행 규칙의 제정·개정이 빈번히 실시되는 것부터 법률의 운영에 관해서도 담당관에 의해 해석이 다른 경우가 많다는 것이 이러한 답변에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타사와의 심한 경쟁」, 「관리직급 인력 확보의 어려움」에 대해서도 30% 기업에서 문제로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관리직 레벨의 인재 확보 문제는 베트남에서 경제 성장으로 외국 ​​기업의 진출이 많아지면서 고급 인재의 요구도 높아지지만 그에 적합한 인재의 공급이 따라가지 못해 나타난 현상으로 보입니다.

 

 

(표02) 사업 진출국들이 안고 있는 문제 (상위 3 항목)

  베트남 중국 인도 태국
1 노동 비용 상승 34.6% 타사와의
심한 경쟁
62.6% 타사와의
심한 경쟁
 43.7% 타사와의 심한 경쟁 47.8%
2 법제도의 운영이
불투명
32.3% 노동 비용 상승 61.1% 법제도의 운영이
불투명
36.8% 노동 비용 상승 46.3%
3 타사와의
심한 경쟁/
관리직급 인력
확보의 어려움
31.5% 법제도의 운영이
불투명
46.9% 기반시설
미정비
35.6% 관리직급 인력
확보의 어려움
34.3%

(주) 퍼센트의 숫자는 해당 국가를 유망하다고 생각하는 기업 중 그 이유를 답한 기업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