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로 개요
베트남의 도로 총길이는 약 23만 km(2016년)이지만 도로 포장률은 50%에 그칩니다. 2020년까지 21 노선, 총길이 6,141km를 정비하는 고속도로 개발 기본계획이 2016년 3월에 총리 승인을 받았으며 특히 남북 고속도로와 국제 항만으로 가는 도로 등 2,700km가 우선적으로 정비될 예정입니다. 하노이-호치민을 연결하는 남북 고속도로는 관민 연계 방식(PPP)으로 정비한다는 방침이며 일부 구간은 2019년부터 공사 중입니다.
간선도로는 정비가 진행되고 있지만 도로의 폭, 포장 상태 등 개선의 여지가 큽니다. 특히 산업도로와 생활 도로 구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하나의 문제입니다. 베트남에서는 간선도로라 해도 승용차와 트럭 사이를 수많은 오토바이가 종횡무진하게 달리고 때로 역주행마저 볼 수 있습니다. 도시에서 트럭의 총 적재량에 따라 통행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오토바이와 자동차도 증가하고 있으며 사고나 정체도 늘고 있습니다. 호치민시 중심부에서는 출·퇴근의 혼잡한 시간대에는 트럭의 시내 주행을 금지하는 통행규제 조치가 취해지고 있지만 호치민이나 하노이와 비교해 교통량이 적은 중부 다낭은 규제가 약간 느슨합니다. 호치민과 하노이는 도시를 통과하는 도로가 많아 그것이 정체를 악화시키고 있기 때문에 도시를 우회하는 환상 도로 정비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2. 주요 간선 도로
국내 주요 간선 도로는 하노이와 호치민을 연결하는 국도 1호선을 비롯하여 남북을 연결하는 도로, 국내외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도로가 있습니다. 하노이에서 호치민을 거쳐 껀터에 이르는 남북 고속도로 건설 프로젝트를 비롯해 남북 간 물류 정비와 하노이, 호치민의 정체 완화, 지역 내 경제 분단의 개선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도로건설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국도 1호선은 베트남 남북을 연결하는 종단 도로로 총 길이 2,301km, 국내 수송의 중심 루트로 되어 있습니다. 트럭 운송의 소요일수는 편도 약 3일(70시간 정도)입니다. 기본적으로 편도 한 차선으로 대도시를 통과하는 부분에는 편도 2차선으로 되어 있는 곳도 있습니다. 하노이 북쪽은 베트남-중국 국경의 랑선 성 휘응위꽌을 통해 중국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남북간 도로 정비에 대해서는 국제금융기관에서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세계은행 하노이-빈 간 및 호치민-껀터 간 아시아 개발은행(ADB:Asian Development Bank)이 호치민-냐짱 간의 정비 사업에 차관을 공여하고 있습니다. 하이반 터널은 2005년에 완성되어 지나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 약 1시간에서 5분으로 크게 단축되었습니다.
제2의 남북 간선 도로인 호치민 도로는 국도 1호선과 병행하며 2016년 1월에는 베트남 북단의 카오방 성에서 남단에 있는 카마우 성까지를 연결하고 있습니다.
베트남-중국을 연결하는 루트는 여러 개가 있지만 주요 루트는 하노이 북동쪽에 위치한 랑선과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빙상(핀션)을 연결하는 루트입니다. 랑선은 하노이에서 국도 1호선을 북동쪽으로 약150km 나아간 거리에 있으며 소요시간은 약 3시간입니다.(랑선부터 중국 국경까지는 20km 더 감) 베트남-중국 물류에 관해서는 특히 중국 측에서 개선이 진행되고 있으며 2005년 12월에 중국-베트남 국경의 휘응이꽌과 난닝을 연결하는 고속도로(남우 도로, 약 180km, 편도 2차선)가 개통했습니다. 그 결과 하노이-난닝의 소요시간은 지금까지 약 7시간에서 약 5시간으로 단축되었습니다.(남우 도로는 베트남 측의 국도 1 호선에 연결)
하노이-하이퐁 사이는 국도 5호선(130km)이 주요 도로이지만 교통량 증가로 인한 교통 정체가 문제가 되고 있었습니다. 2015년 5월 하노이 시에서 하이퐁 시 딤부 항을 연결하는 고속도로가 개통했습니다.(총길이 105.5km) 그때까지 소요시간은 2시간 30분~3시간 정도였지만 고속도로 개통에 의해 1시간 30분~2시간 정도로 단축되었습니다. 통행 요금은 16~84만 동. 현재 딤부 공업단지에서 꽌닌 성의 락펜 항을 연결하는 고속도로가 2017년 9월에 개통했습니다.
중부 도로망의 중심은 다낭입니다. 여기에서 동서 경제 회랑이 시작되어 다낭 북부의 후에, 동하를 지나 라오스의 사반나켓을 경유하여 태국과 미얀마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남북 고속도로의 일환으로 다낭과 꽝응아이 간의 고속도로는 2018년 9월에 완성되었습니다.
남부에서는 국도 1호선이 호치민에서 남부 껀터까지 이어져 있으며 호치민에서 국도 22호선이 북서 58km로 뻗어 떠이닌 성에 있는 캄보디아 국경의 목바이와 캄보디아의 수도 프놈펜 경유로 태국 방콕으로 통합니다 (남부 경제 회랑) 호치민과 발리아, 붕타우성의 붕타우 시 사이에는 총 길이 72.7km의 국도 51호선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1. (베트남) 베트남에 대한 기업의 견해 (2) | 2022.10.01 |
---|---|
120. (베트남) 물류·기반시설 (4) - 경제회랑 (2) | 2022.09.29 |
118. (베트남) 물류·기반시설 (2) - 공항 (0) | 2022.09.25 |
117. (베트남) 물류·기반시설 (1) - 항만 (2) | 2022.09.23 |
116. (베트남) 노사 관계와 노동허가증 (2) | 2022.09.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