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베트남 고용계약2

179. 남부-인력관리 1. 인력 관리 베트남에서 기업은 노동조합을 결성할 수 있으며 기업 내 노동조합은 상부조직인 베트남 노동 총동맹과 공산당의 관리하에 있습니다. 노사 간에 정기적으로 회의가 열리는데 현지 회사의 매니지먼트와 노동조합의 대화는 분기마다 1회 열립니다. 논의의 중심은 임금 수준보다는 주로 점심 가격이나 질 등 취업환경에 관한 사항입니다. 또한 공업단지의 입주기업 중에는 종업원이 1,000명 규모 정도 되면 조합 활동을 선동하는 자가 나타나기도 하므로 평소에 조합과 양호한 관계를 구축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면 2006년 2월 여러 외국계 기업에서 임금 인상을 요구하는 직원에 의한 파업이 발생했었습니다. 참가한 인원은 수십 개의 회사 1만명 이상이 되는 대규모 파업이었습니다. 조사해 보니 최저임금 인상.. 2023. 1. 31.
153. (베트남) 고용계약과 근로자 평가 1. 고용계약(잔업시간, 유급휴가, 퇴직, 이직) 베트남인은 일반적으로 잔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노동계약 시 3개월의 수습기간을 두는 회사가 많습니다. 법률에 따라 두 번째 갱신부터 무기한 계약으로 고용이 되며 이 경우 해고가 쉽지 않아 이것이 노동 비용 상승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일단 계약을 해약하고 재고용을 하는 기업도 있습니다. 베트남은 사회주의 국가이기 때문에 노동법도 노동자 편에서 되어 있기 때문에 ①증거가 있고 ②규칙을 위반하고 있는 것을 알고 있으며 ③본인도 그 사실을 인정할 것 등 조건이 갖추어지지 않으면 해고는 매우 어렵습니다. 법률상으로는 3회 경고 후 해고는 가능하지만 반대로 노동자 측으로부터 고소당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취업 규칙에 해고되는 경우를 규정하고 경고에 .. 2022. 12.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