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베트남 북부 비즈니스2 252. 베트남 북부의 비즈니스 가능성과 과제(2) ::: 진출 및 확장 검토 시에 고려해야 할 점1. 용지 취득 & 공장건설 【토지의 인허가】 ▶ 토지의 공급 시기 ·공업단지별 또는 단계 · 구획별로 토지의 상태는 천차만별 ·토지인도+LURC 등기이전 시기도 확인이 필요 ▶ 투자 승인의 평가기준·성(省)의 유치 정책·운용 정책의 확인 ·중앙의 투자 효율 중시 경향(금액·시기) ▶ 장기화 되는 인허가 프로세스 ·조업까지 약 2년, 그 동안의 사업환경 변화 가능성 (토지, IRC, 환경·소방+건축기간)【전력 공급】 ▶ 2023년 5월, 11월 두 차례의 요금 개정이 있었음·연초부터 평균 7.6퍼센트 상승 ·2024년 5월에 다음 개정이 전망됨 ▶ 입지·단지별로 송전 계통이 다름·단지의 변전소 보유·운영 ·상위계통의 전원인지 공급 스케줄 확인 ▶ 표준.. 2024. 4. 28. 251. 베트남 북부의 비즈니스 가능성과 과제(1) ::: 외국기업/직접투자(FDI) 동향(국가·지역별/업종별) 위의 표는 코로나가 끝난 2022년 및 작년 2023년 베트남 전체의 FDI 상황입니다. 코로나가 막 종료된 2022년에는 22억 달러였습니다만 지난해 2023년에는 28억 달러로 약 24% 증가했습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계속해서 1위이며 67%에서 78%까지 증가했습니다.. 오른쪽의 국가별 그래프를 보시면 2022년과 2023년에 싱가포르의 투자가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싱가포르가 1위이지만 사실 싱가포르 국적의 제조업이 이 정도로 베트남에 투자를 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물론 싱가포르 기업에 의한 부동산이나 인프라 분야에 대한 투자도 있습니다만 여기에 나와있는 숫자의 대부분은 중국이나 대만 기업에 의한 싱가포르 경유의 투자라고 볼 .. 2024. 4. 1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