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252. 베트남 북부의 비즈니스 가능성과 과제(2)

by KVT 2024. 4. 28.
반응형

::: 진출 및 확장 검토 시에 고려해야 할 점

1. 용지 취득 & 공장건설

토지의 인허가

▶ 토지의 공급 시기
·공업단지별 또는 단계 · 구획별로 토지의 상태는 천차만별
·토지인도+LURC 등기이전 시기도 확인이 필요

▶ 투자 승인의 평가기준
·성(省)의 유치 정책·운용 정책의 확인
·중앙의 투자 효율 중시 경향(금액·시기)

▶ 장기화 되는 인허가 프로세스
·조업까지 약 2년, 그 동안의 사업환경 변화 가능성
 (토지, IRC, 환경·소방+건축기간)
【전력 공급】

▶ 2023년 5월, 11월 두 차례의 요금 개정이 있었음
·연초부터 평균 7.6퍼센트 상승
·2024년 5월에 다음 개정이 전망됨

▶ 입지·단지별로 송전 계통이 다름
·단지의 변전소 보유·운영
·상위계통의 전원인지 공급 스케줄 확인

▶ 표준 할당량(kVA/Ha)
·향후의 용량도 확인
·제2기 분의 전력이 있는지 (토지가 있어도 전력이 없으면?)
노동력 공급

▶ 주변국들과 마찬가지로 인건비가 상승
·최저임금은 코로나 전보다 평균 12.4% 증가
·다음 개정은 올해 7월(평균 6%)
·이제는 눈에 띄는 강점이 아니게 되었으나 여전히 메리트가 리스크보다 큼

▶ 산업 집적 지역에서 근로자의 쟁탈전
·다른 외국업체와의 인재획득 경쟁
·인재가 정착할 수 있도록·채용 시 다양한 방법이 필요
·장래를 위한 현지화, 자동화 준비를 하면서 그 자동화를 위한 인재 육성을 준비

 


2. 임대 공장

 

※ 북부 임대공장 시장(2024년 1Q 시점)

▶ 국내 자본&외국 자본 플레이어에 의한 대규모 용지 확보
   박닌성, 흥옌성, 하이퐁시 등의 산업 집적지역에서 적극적인 개발이 이루어짐
▶ 중국·대만 기업이 대규모로 수직 상승하고 생산 이관을 하는 케이스의 토대가 되고 있다.

대부분 월세 5달러/ ㎡ 안팎
▶ 임대 가능 사이즈는 2000~10,000㎡가 많고 1,000 ㎡ 전후 규모의 임대 가능한 곳은 적음

 

【임대 공장】
장점 √ 초기 투자금이 작다
√ 단기간에 조업을 개시할 수 있다.(6~9개월)
√ 철수하기 쉽다(토지 및 건물의 매각이 수반되지 않음)
과제 √ 월세 매년 상승(10년 만에 1.5배, 15년 만에 2배)
  단순 비용 계산으로 보면 8년 전후로 렌트 비용이 공장 건설 비용을 웃돌게 됨
  3년차부터 공장건설을 계획하고 5년차에 나가는것이 베스트 스토리입니다.
√ 이전 확장 시 같은 지역 내에서 확장 or 토지를 취득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음
√ 그 구역에서 확장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근로자들이 따라올 수 없을 가능성이 있음

 

【자사의 공장 건설】
장점 √ 자사 공장으로서 중장기적인 비즈니스를 계획할 수 있음
√ 공장 레이아웃, 사양 계획에 자유로움
√ 수주 계획에 따라 단계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과제 √ 초기 투자금이 크다
√ 1Ha 이하로 공급되는 토지가 극히 적음
√ 토지 선정~조업까지의 사이에 사업 환경이 바뀌는 리스크에 대한 대응이 필요
√ ( 성(省) 의 방침에 따라서는) 확장 용지를 미리 구입해도 오래 묵혀두지 못할 가능성이 있음
√ 되팔거나 잘라팔 때 까다로워 그 과정에서 시간이 걸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