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베트남 자회사2 250. 베트남 자회사를 현지화 할 때의 유의점(2) ::: 재무상황의 보고 방법이 잡혀있지 않거나 톱 매니지먼트가 현금흐름을 보지 못하는 경우 어떤 목표를 잡고 싶어도 구체적인 수치로 나타내보거나 그것을 어떻게 달성할지 생각하기 전에 재무 상황 파악과 현금 흐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그것을 모회사에도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보고할 수 있을지 모회사의 관점에서 현지화할 수 있는지도 중요합니다. 단순히 모회사의 경리 담당에게 현지의 재무제표를 보내는 것이라면 이미 일반적으로 많은 회사들이 하고 있는 것이며 이것만으로는 경영의 현지화가 되어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 자신이 직접 혼자서 다 해버리기 우수한 일반 사원이 하기 쉬운 실수입니다. 직책만 먼저 올라가 지금까지 하던 습관 그대로 상급자로서 지시해야 할 일도 자신이 해버리는 경우가 .. 2024. 4. 1. 249. 베트남 자회사를 현지화 할 때의 유의점(1) ::: 베트남 자회사의 인사(채용)을 모회사가 전혀 파악하고 있지 못하는 경우 100% 자회사임에도 현지의 인사나 직원의 채용을 전적으로 베트남 현지에 맡겨버리는 회사가 있습니다. 여기에 무언가 생각하는 바가 있으면 괜찮겠지만 보통은 그냥 단순히 잘 모르니까 현지의 일은 현지에 맡긴다라는 생각으로 모르고 있는 경우는 위험합니다. 최근에는 회계를 클라우드화 하거나 시스템화 하면서 본사인 모회사에서도 볼 수 있는 등 업무 쪽의 일은 잘 되어가고 있습니다만 인사나 채용은 아직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재무 결과를 만드는 요인 중 하나는 사람이므로 인사나 채용의 적극적인 관리도 성공적인 현지화를 위해 꼭 필요합니다. ::: 중간 관리자의 일의 방향 설정 중간 관리자층이 최고 관리직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베트.. 2024. 3.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