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은 안정적인 정치 구조, 빠른 경제 성장률, 풍부한 노동력, 그리고 중국과 가까운 지리적 이점을 갖춘 동남아 대표 생산 거점입니다. 미국이 베트남산 철강 및 기타 품목에 「최대 46%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면서 베트남에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들은 새로운 법인 설립 전략이 필요해졌습니다. 이 글에서는 「베트남 법인 설립 절차」 , 「소요 비용」 , 「주요 체크포인트」 , 그리고 「관세 이슈 대응 전략 」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베트남 법인 설립의 3가지 방식
1. 유한책임회사(LLC) – 100% 외국인 투자 가능
2. 합작회사(Joint Venture) – 베트남 파트너와 공동 설립
3. 대표사무소(Representative Office) – 수익활동 불가, 시장조사 목적
💡 대부분의 한국 기업은 「100% 외국인 소유 유한책임회사(LLC)」 형태로 진출합니다.
📌 베트남 법인 설립 절차 (2025년 기준)
단계 | 내용 | 소요기간 |
1 | 투자등록증(IRC) 신청 | 15~20일 |
2 | 기업등록증(ERC) 신청 | 5~7일 |
3 | 법인 은행계좌 개설 | 1~3일 |
4 | 세금 코드 및 전자세금계산서 등록 | 3~5일 |
5 | 임대차 계약, 사무실 등록 | 병행 가능 |
6 | 사업 허가증 또는 업종 별 라이선스(필요 시) | 업종에 따라 상이 |
총 소요 기간: 약 1~2개월
💸 설립 비용 (예상치 기준)
항목 | 비용 (USD 기준) |
법률 대행 수수료 | $2,000 ~ $5,000 |
공증 및 번역 비용 | $200 ~ $500 |
세무 시스템 세팅 | $300 ~ $800 |
사무실 임대 (3개월 보증금 기준) | $1,000 ~ |
기타(계좌, 인감, 라이선스 등) | $300 ~ |
💡 합리적인 비용으로 진행하려면 「현지 경험이 풍부한 법률사무소나 컨설턴트와 협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025년 미국의 베트남산 제품 관세 인상: 어떤 영향이 있나?
- 2025년 4월 2일 미국 상무부는 베트남산 품목에 최대 46%의 관세 부과 결정(특정 산업에 국한되지 않고 베트남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전체 상품의 90%에 해당하는 광범위한 품목에 적용)
- 이는 「중국산 제품의 우회 수출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분석됨
- 베트남 내 단순 조립 법인 설립은 「무역법상 리스크」로 작용 가능
이는 2025년 4월 9일부터 시행될 예정입니다. 이러한 조치는 베트남의 주요 수출 산업인 의류, 가구, 장난감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 기업의 대응 전략
1. 원산지 인증 강화 (Form E, RCEP 활용)
2. 베트남 현지에서의 실질적인 부가가치 생산 비중 강화
3. 한국-베트남 FTA 및 CPTPP 원산지 기준에 맞는 설계
4. 철강·가구 등 민감 품목에 대한 사전 컨설팅 필수
✅ 단순 무역 법인이 아니라 「실제 제조·가공 기반을 갖춘 현지 법인 설립」이 앞으로 더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 성공적인 법인 설립을 위한 팁
- 업종 라이선스 사전 검토 : 교육, 금융, 운송 등은 별도 허가 필요
- 현지 파트너 없이도 설립 가능 : 하지만 부동산/인허가 시 현지 조력자가 유리
- 전자세금계산서 시스템과 연동 필수
- 회계·세무 대행 서비스 검토 필수 (베트남은 세무 감사가 까다로움)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0. 미국의 베트남 관세 부과와 국제 사회의 반응 (0) | 2025.04.09 |
---|---|
279. 베트남의 디지털 전환 및 ICT 산업 성장 (1) | 2025.04.07 |
277. 2025년 베트남 산업단지 트렌드(한국 기업이 주목해야 할 변화) (0) | 2025.03.31 |
276. 베트남 비자 종류 및 신청 방법 (1) | 2025.03.17 |
275. 베트남 폐기물 관리 변화: 2025년 폐기물 분류 의무화 정책 시행 (1) | 2025.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