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공업 단지
북부에서는 1990년대 후반 이후 공업 단지의 개발이 잇따라 진행되어 외국계 기업의 진출처 후보가 크게 늘었습니다. 하지만 렌털 공장 시설을 제외한 공업 단지의 입주 가능한 공간은 현재 제한되어 있으므로 신규 진출 또는 생산 증강 등을 위해 공장을 증설하는 기업은 하노이의 북서쪽에 위치하는 빈푹성과 하노이와 카일란 항을 연결하는 국도 18호선이 통과하는 박닌성, 국도 18호선이나 국도 5호선(하노이~하이퐁 항)이 통과하는 훈옌 성이나 하이즈엉 성 등 간선 도로 쪽의 공업단지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하이퐁 시에도 VSIP 공업단지와 심수 항구에 가까운 딩부 공업단지 등이 정비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01년에 탕롱 공업 단지 I에 진출한 캐논은 제2 공장을 박닌 성의 퀘보 공업 단지로 하고 제3 공장을 같은 박닌 성의 티엔손 공업단지에 세우는 등 주변 지역으로 공장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외국계 공업단지의 경우 공업단지 내의 도로, 전력 등의 기반시설을 비롯하여 투자 신청에 필요한 지원을 포함한 서비스가 세심해 신규로 베트남에 진출하는 기업이나 중견·중소기업에게 든든합니다. 현지 기업과 정부가 운영하는 산업 단지는 토지 임대료는 싸지만 외국계 공업 단지와 동일한 레벨의 기반시설이나 각종 지원은 어렵다는 것을 알아두셔야 합니다.
세계 각지에 공장을 두고 해외 사업 경험이 많은 대기업 중에는 기존의 공업 단지에 입주하지 않는 기업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빈푹 성에 공장이 있는 도요타 자동차나 혼다가 이에 해당하고 입지 메리트를 우선해 자사에서 주변 기반시설 정비를 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절차면에서 많은 노력과 투자가 필요하고 초기 투자 비용도 들어가는 공업 단지 밖으로의 진출은 다양한 어려움으로 인해 많은 외국 기업은 외국계 공업단지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중소기업을 위한 렌탈공장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외국계 사업자가 제공하는 렌털 공장도 많아 앞서 언급한 탕롱 공업 단지의 렌털 공장 등 외국인 스탭에 의한 지원 체제가 구축되어 있는 곳도 있습니다.
이와 같이 외국 기업의 북부 진출의 길은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자사의 투자 금액의 제약, 납품처와의 거리, 수출입의 편리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최적의 입지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외 개선이 진행되고 있는 인근 국가의 물류 사정과 활발한 북부의 외국계 물류 업체의 동향, 현재 검토 그림이 진행되고 있는 간선도로나 항만, 공업단지 등 진출처를 결정할 때 고려사항에 넣는 것을 권장합니다.
2. 투자 신청·상담 창구
진출을 계획하고 있는 기업은 성 레벨의 인민위원회 계획 투자국(DPI) 혹은 수출 가공구·공업단지 관리위원회에서 투자 수속을 하고 있습니다. 하노이 공업단지·수출가공구 관리위원회(HIZA)는 하노이의 공업단지에 투자를 희망하는 기업의 사무절차를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원도어 정책(= 원스톱 서비스와 비슷)에 맞춰 운영하고 있습니다. 공업단지 밖에 투자하는 기업은 하노이 시의 DPI에서 투자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투자 증명서의 취득 수속이나 시행 세칙의 내용은 「아래의 이전 포스트 77~80 허가 · 진출 절차」를 참조해 주세요. 또한 외국계 산업 단지에서는 외국인 주재원이 진출 기업을 위한 각종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2.08.12 - [분류 전체보기] - 77. (베트남) 허가·진출 수속 (1)
77. (베트남) 허가·진출 수속 (1)
1. 개요 베트남에서 회사 설립 등의 투자 프로젝트를 하는 외국 투자자는 각 부처의 관할 당국이 발행하는 해당 프로젝트에 관한 투자 등록 증명서 (Investment Registration Certificate)를 취득해야 합니
thewealthy.tistory.com
2022.08.13 - [분류 전체보기] - 78. (베트남) 허가·진출 수속 (2)
78. (베트남) 허가·진출 수속 (2)
어제에 이어서 올립니다. 2022.08.12 - [분류 전체보기] - 77. (베트남) 허가·진출 수속 (1) 투자 정책을 결정할 때 계획 투자부 (MPI) 및 투자 등록 증명서의 발급 기관은 각 사업 분야를 소관하는 관련
thewealthy.tistory.com
2022.08.14 - [분류 전체보기] - 79. (베트남) 허가·진출 수속 (3)
79. (베트남) 허가·진출 수속 (3)
이전 포스트 허가·진출 수속 (1), (2)에 이어 계속합니다. 2022.08.12 - [분류 전체보기] - 77. (베트남) 허가·진출 수속 (1) 2022.08.13 - [분류 전체보기] - 78. (베트남) 허가·진출 수속 (2) 1. 기업등록증명
thewealthy.tistory.com
2022.08.15 - [분류 전체보기] - 80. (베트남) 허가·진출 수속 (4)
80. (베트남) 허가·진출 수속 (4)
이전 포스트 허가·진출 수속 (1), (2), (3)에 이어 마지막 편입니다. 2022.08.12 - [분류 전체보기] - 77. (베트남) 허가·진출 수속 (1) 2022.08.13 - [분류 전체보기] - 78. (베트남) 허가·진출 수속 (2) 2022.08.14
thewealthy.tistory.com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9. (베트남) 북부의 기반시설-철도 교통 (0) | 2022.11.26 |
---|---|
148. (베트남) 북부의 기반시설-항만 공항 도로 (0) | 2022.11.24 |
146. (베트남) 외국 직접 투자(FDI) 유입 상황 (0) | 2022.11.20 |
145. (베트남) 북부-하노이&하이퐁 특징 (0) | 2022.11.18 |
144. (베트남) 북부-개요 (0) | 2022.1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