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항만
북부의 주요 항구는 하이퐁 항구, 카일란 항구입니다. 하이퐁 항은 하천항이며 항로의 수심은 5.5~7.2m로 얕고 4만 톤급의 선박이 한계이기 때문에 홍콩, 가오슝(대만), 싱가포르 등에서 짐을 옮겨서 싣거나 다시 실어야 합니다. 하이퐁의 하구에서 딩부 항구의 정비가 진행되고 있어 컨테이너 취급량이 서서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하이퐁 항을 보완하는 형태로 2004년 하이퐁의 북동쪽 30km에 위치한 하롱 베이에 카일란 항구가 개항했습니다. 카일란 항구는 수심 13m로 깊고 북부에서 유일하게 5,000 TEU급 컨테이너 선박이 기항 할 수 있는 항구이지만 접근이 나쁘고 운송 비용이 비싸지는 등의 이유로 인해 컨테이너 취급량은 그리 늘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하이퐁 앞바다 락펜 지구에 국제대심수 항이 건설되어 2018년 5월에 시설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수심은 14m로 5~10만 톤급의 대형선 기항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유럽과 미국용 직행 노선 취항이 기대됩니다. 이 주변 지역에서는 여러 공업 단지의 건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2. 공항
북부에서는 하노이 노이바이 공항이 유일한 국제공항이었는데 2016년에 하이퐁시 깟비 공항이 국제공항이 되었습니다. 노이바이 공항은 하노이 시내 중심에서 약 40km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차로 1시간 거리에 있습니다. 2022년 현재 팬데믹 이후 호치민에 비해 항공편 수는 다소 적지만 하노이와 서울(인천) 직항편이 있으며 깟비 공항 국제선에서도 직항으로 서울(인천)과의 왕복이 가능합니다.
하노이 노이바이 공항 - https://www.vietnamairport.vn/noibaiairport/en/
Noi Bai International airport - Noi Bai International airport
www.vietnamairport.vn
하이퐁 깟비 공항 - https://www.vietnamairport.vn/catbiairport/en/
Cat Bi Airport - Cat Bi Airport
www.vietnamairport.vn
3. 도로
하노이 시내의 간선 도로는 거의 포장되어 있지만 지방 도시 또는 도시 사이를 연결하는 도로 정비는 늦어지고 있습니다. 하노이-호치민 사이를 달리는 국도 1호선(약 1,800km)은 주요 도시를 통과하는 구간을 제외하고 많은 곳이 1차선인 채로 남아 있습니다. 또한 노후화 된 교량 등 미정비 구간도 아직 많이 남아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도 하노이-호치민의 이동에는 약 3일이 걸립니다. 외국의 ODA와 ADB의 지원을 받아 우선순위가 높은 곳부터 고속도로의 정비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2015년 1월 하노이 시가지에서 노이바이 공항 사이에 위치한 냐탄 다리가 개통되어 공항까지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하노이에서 하이퐁항까지의 국도 5호선(하노이-하이퐁 사이는 102km)은 ODA에 의해 정비된 도로이며 (2001년 완공) 2~2.5시간 정도 걸렸습니다. 2015년 5월 하노이 시와 하이퐁 시 딩부항을 연결하는 고속도로가 개통 후에 두 도시 간의 소요시간은 1.5~2시간으로 약 30분 정도 단축되었습니다.
하노이-방콕 사이는 2006년 12월에 제2 메콩 다리(베트남-라오스 간)가 개통함에 따라 기존 비엔티안을 통한 루트에서 운송 거리가 약 400km 단축되었으며 통관을 포함하여 최소 3일 만에 수송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현상태에서 베트남의 트럭은 그대로 태국에 입국할 수 없기 때문에 수하물을 다시 싣는 등 픽업이 필요합니다.(라오스는 입국 가능)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0. (베트남) 북부의 기반시설-전기 수도 가스 인터넷 (0) | 2022.11.28 |
---|---|
149. (베트남) 북부의 기반시설-철도 교통 (0) | 2022.11.26 |
147. (베트남) 북부의 공업단지 (0) | 2022.11.22 |
146. (베트남) 외국 직접 투자(FDI) 유입 상황 (0) | 2022.11.20 |
145. (베트남) 북부-하노이&하이퐁 특징 (0) | 2022.11.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