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기
외국계 공업 단지들에서 전력은 2계통으로 공급되며 정기적으로 유지·보수도 실시되고 있습니다. 사용 요금은 시간대에 따라 다른 변동 요금제입니다. 베트남에서 전력 수급이 해마다 어려워지고 있는 가운데 과거에는 물 부족으로 인한 정전이 자주 있었지만 2019년 시점의 현지 조사에서 하노이시, 하이퐁시의 공업단지 입주 기업들은 「정전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전력 상황은 비교적 좋다고 느끼고 있다.」고 했습니다만 「전기 손실은 신경이 쓰인다.」고 지적했습니다. 계획 정전은 일반적으로는 전력회사 혹은 공업단지 관리회사를 통해 대부분 사전에 통지하지만 때때로 순간 정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 때문에 제조업에서는 순간 정전 발생에 대비하여 자가 발전 설비를 마련하는 기업도 있다고 합니다.
한편 공업 단지 외의 기반시설은 충분히 정비되지 않아 정전도 자주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예고 없는 정전도 있기 때문에 자가 발전 설비를 설치하지 않은 공장은 그 때마다 조업을 정지해야 합니다. 또한 전력 부족시 공업 단지에 전력이 우선 공급되기 때문에 주변 주택지에서는 정전이 자주 발생합니다.
2. 가스
열처리를 위해 가스를 사용하는 공장의 상황을 알아본 결과 현재 가스 공급에 특별히 문제는 없었습니다. 현지에서는 직원 식당 등에서 가스를 이용하는 기업이 있는 정도로 열의 공급으로 가스를 이용하는 기업은 적었습니다. 또한 베트남에서는 도시 가스가 정비되어 있지 않고 기본적으로 프로판 가스가 사용됩니다.
3. 수도
베트남에서 공업 단지 내의 물 공급과 관련된 문제는 특별히 없었습니다. 공업 단지 외부에서는 예고 없이 단수가 되기도 합니다. 배수에 대해서는 무기물 등은 자사 내에서 처리하고 공업 단지의 집중 처리 설비에서 유기물을 처리 배출해야 합니다. 베트남은 환경 문제를 엄격히 단속하고 있어 공업 단지 관리위원회가 월 1회의 배수 샘플 제출이나 탈취 검사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생활면에서는 외국인이 거주하는 고급 서비스 아파트에서는 단수는 없지만 로컬 스텝의 거주 지역에서는 자주 단수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4. 통신
베트남에서는 휴대전화가 보급되어 있으며 이용요금도 매우 저렴합니다. 포스트 페이드 방식의 경우 월정액 기본 요금은 3,000원 정도이며 분당 국내 통화료는 50원 정도입니다. 선불 방식의 경우 SIM 카드를 구입해서 사용하는데 저는 일년치를 미리 내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통화료는 선불 방식과 같은 정도로 데이터 패키지는 편의점이나 상점 등에서 손쉽게 구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무료 Wi-Fi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식점, 쇼핑몰 등이 많아 암호를 입력하면 인터넷 통신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2. (베트남) 인재 관리 (0) | 2022.12.02 |
---|---|
151. (베트남) 북부 노동 상황 (0) | 2022.11.30 |
149. (베트남) 북부의 기반시설-철도 교통 (0) | 2022.11.26 |
148. (베트남) 북부의 기반시설-항만 공항 도로 (0) | 2022.11.24 |
147. (베트남) 북부의 공업단지 (0) | 2022.1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