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172. 남부의 특징(3) 호치민 등

by KVT 2023. 1. 17.
반응형

1. 호치민 시

 호치민은 베트남 최대의 상공업 도시이며 도시 기반에서도 최대 인구 899만 명(2022년)을 보유해 베트남에서 가장 경제 기반이 정비된 도시입니다. 환경과 정비된 기반시설 등을 배경으로 수많은 외국계 기업이 호치민 근교에 진출했으며 해외 투자자들로부터 인기도 높습니다. 2019년 호치민시의 GRDP는 6,862달러로 다른 지역에 비해 이미 한 단계 높은 수준입니다. 소득 수준의 레벨에서 호치민은 소비시장으로서의 매력이 앞으로도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지만 임금 상승, 노동력 부족, 진출 여지(토지)의 공급 부족도 현실화되고 있어 비용이 높아지고 있는 점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2. 동나이성

 동나이성은 호치민 시의 동쪽에 있으며 성내 도시인 비엔호아는 호치민 시내에서 30km로 약 1시간 반 내에 위치합니다. 국도 1호선 등 많은 주요 간선 도로가 있으며 비엔호아에서 배리어 붕타우성의 붕타우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건설 계획과 론타인 국제공항의 신설 프로젝트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주요 지구는 호치민 시와 같은 최저 임금이 설정되어 있지만 비교적 싼 노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데다 공업단지도 넓어 진출 여지가 크다는 매력이 있어 베트남 국내에서 외국계 기업으로부터의 투자가 많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노동자용 주택 서비스나 투자진출 지원 체제로서 원스톱센터도 설치되어 있습니다. 또한 동나이성 공업단지 관리국에는 외국어 상담창구도 있습니다. 또한 내륙에 위치하여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 위험이 낮은 점도 장점 중 하나입니다.

 

 

3. 빈즌성

 빈증성은 호치민에서 국도 13호선에서 30km 북쪽으로 약 1시간 내에 위치합니다. 외국 기업의 진출도 증가해 한국, 대만으로부터의 투자도 급증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대규모 공업단지로는 외국계 기업이 많은 VSIP1과 빈증 신도시에 가까운 VSIP2가 있습니다. 2012년 이후 외국계 회사와 빈증성의 BECAMEX사에 의해 공동으로 공업도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공업단지, 상업시설, 주택, 대학, 병원, 노선버스 등의 기반시설이 정비되어 빈증성의 정부 기관도 함께 정비되고 있습니다.

 

 

4. 롱안성

 롱안성은 호치민 시의 남서쪽에 인접해 있습니다. 메콩 삼각주 지역으로 향하는 고속도로가 2009년에 개통해 그 라인이나 호치민에 가까운 지역에 공업 단지가 많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서쪽은 캄보디아에 접하고 있으며 국경에는 경제구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또 이 성에는 광대한 평야가 있어 농업경제도 활발합니다.

 

 

5. 배리어 붕타우 성

 배리어 붕타우성은 호치민의 남동부에 있으며 딴손녓 국제공항에서 성 도심의 붕타우까지는 차로 1시간 30분 정도입니다. 천연자원 개발이 활발하며 배리어 붕타우성 웹사이트 공개 정보에 따르면 해저 석유는 매장량 15억 톤으로 예측되며 연간 1,300~1,400만 톤이 채굴되고 있습니다. 천연가스는 1조 ㎥의 매장량이 있으며 연간 60~70억 ㎥이 채굴되고 있습니다. 또 콘다오 섬의 리조트 개발도 진행되어 관광업으로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또한 남부에는 주요 항구인 카이메프 치바이 국제항이 있습니다.

 

 

6. 그 외

 최근 주요 도시의 땅값과 임금상승, 구인이 어려워진 점 등으로 남부 지역에서 지방으로의 진출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인구가 많은 메콩 델타 지역의 최대 도시인 껀터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껀터의 인구는 약 160만 명(2020년)을 돌파했습니다. 이전에는 호치민 등에서 육로만으로는 들어갈 수 없었습니다만 교량의 정비 등으로 현재는 차로 왕래가 가능합니다. 호치민에서는 약 3시간 정도 걸립니다.


 또한 끼엔장 성에는 베트남 남서단의 해안 40km의 위치에 푸꾸옥 섬이 있어 전통적인 어업·가공품 제조(넉맘)에 더해 최근에는 리조트 개발이나 공업 단지 개발 등이 활발히 행해지고 있습니다.

 

 

 

반응형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4. 남부의 공업단지  (2) 2023.01.21
173. 남부 동향  (0) 2023.01.19
171. 남부의 특징(2)  (2) 2023.01.15
170. 남부의 특징(1)  (0) 2023.01.13
169. 중부의 생활환경  (0) 2023.01.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