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외국직접투자 유입상황
2001~2018년 호치민 투자는 누적 통계 6,646건, 285억 달러였습니다. 배리어 붕타우성은 319건으로 234억 달러, 빈증성은 2,666건으로 171억 달러, 동나이성은 1,295건으로 148억 달러였습니다.
호치민 투자의 특징은 베트남 전체에서의 FDI와 마찬가지로 ①제조업에서는 대규모 진출로 인한 중소기업의 투자가 늘어나고 있는 것과 ②제조업 이외에서는 서비스업의 진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최근 투자 건수와 투자 금액의 상황을 보면 투자 건수는 2016년의 836건에서 2018년에는 1,026건으로 190건 증가했지만 투자 금액에서는 2016년 10억 달러, 2017년 23억 달러, 2018년 8억 달러로 보고 있으며 2016년과 비교하면 2018년은 투자 안건당의 평균 투자 금액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2. 외국 기업의 동향
:: 남부 진출 기업들의 베트남 전략
2011년, 2016년, 2019년에 실시한 현지 조사(호치민시, 동나이성, 빈증성, 롱안성)로 남부에의 진출 배경을 간단히 정리해 보면 ①일반적으로 기반시설이 정비되어 있으며 ②납품처나 조달처가 가깝습니다.
호치민시는 1990년대부터 공업단지가 정비되어 외국계 기업의 진출도 이 즈음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특히 호치민시나 그 주변에 진출하는 수출가공형 기업은 항만까지의 거리나 주변국 등에의 접근성 등 물류조건을 고려하여 진출하고 있습니다. 또 진출기업 중에는 계절에 따른 기온차가 작고 안정된 기후가 작업공정에 맞는다는 이유로 꼽는 기업도 있었습니다. 또한 호치민 시는 주거환경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통근 가능한 거리에 공업단지가 있는 것도 호치민시와 그 주변 지역에 투자가 모이는 큰 요인으로 들 수 있습니다.
또 베트남 국내 판매를 의식하고 그것을 목적으로 한 외국 기업의 진출은 남부 쪽에 많은 경향이 있습니다.
9,000만명이 넘는 인구 중 20%에 해당하는 약 1,600만 명이 호치민시 및 그 주변 성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또한 호치민시, 빈증성의 1인당 GRDP는 5,000달러를 넘고 동나이성도 4,000달러를 웃돌고 있습니다. 가구, 냉장고, 자동차, 텔레비전 등의 내구 소비재를 구입하기 시작하는 3,000달러의 수준을 이미 크게 넘어서고 있는 등 소비 시장으로서의 잠재성도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5. 남부의 기반시설(1)-항만, 공항 (0) | 2023.01.23 |
---|---|
174. 남부의 공업단지 (2) | 2023.01.21 |
172. 남부의 특징(3) 호치민 등 (0) | 2023.01.17 |
171. 남부의 특징(2) (2) | 2023.01.15 |
170. 남부의 특징(1) (0) | 2023.01.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