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부 개요
남부의 특징
남부 지역은 1990년대 이후의 베트남 투자 붐부터 2000년까지 해외 직접 투자의 대부분을 받아들였습니다. 그 요인으로는 정비된 인프라 기반을 들 수 있습니다. 남부 지역은 1990년 경부터 공업 단지와 수출 가공구역을 개발해 외국투자가가 진출하기 쉬운 환경을 마련했습니다. 남부는 특히 베트남 전쟁 중 미국에 의한 도로와 전력 기반시설의 정비가 이루어져 산업 인프라의 기반이 이미 구축되어 있었습니다. 또한 1976년 베트남 통일 이전부터 자본주의 체제였기 때문에 호텔, 레스토랑, 유통업 등의 서비스업에도 충실해 시장경제를 받아들이는 사업환경이 북부보다 정비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2018년까지 외국 직접 투자유입액(누적 기준)을 보더라도 남부에 대한 투자가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비스 산업의 외국자본 규제 완화를 촉진하고 경제 활동이 활발한 호치민 중심에 내수를 노린 서비스업에 의한 WTO 회원의 투자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남부 지역은 호치민을 중심으로 소득 수준이 높아 소비 의욕이 강하고 시장으로서의 매력도 있습니다. 많은 외국 기업들이 이 지역에 투자를 하고 있지만 북부와 비교했을 때 토지, 노동임금 등이 많이 올라 비용면에서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호치민시 주변 성인 동나이성, 빈즌성 등에서 개발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제까지는 투자 대상 지역으로 호치민에서 차로 1시간 정도의 범위였지만 투자 확대로 최근에는 1시간 반 ~ 2시간 정도의 범위까지로 넓어지게 되었습니다.
남부 편의 다음 포스트부터는 남부 지역에서 외국계 기업에 의한 투자가 집중되어 있는 호치민시, 동나이성, 빈즌성을 중심으로 남부의 투자환경을 올리려고 합니다. 아래의 (표 01)에서는 베트남 남부에 진출했을 때의 장점과 주의할 점을 간결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표 01) 베트남 남부에 진출할 때의 장점과 주의할 점
장점 | 주의점 |
ASEAN 시장에 대한 접근성이 좋으며 다른 ASEAN 지역과 비슷한 비즈니스 환경임 | 교통 상황이 나쁘다.(교통 정체, 오토바이, 열악한 대중교통) 주재원이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이 없다. |
베트남에서 가장 산업 집적이 진행된 지역으로 부품 조달의 선택지가 많다 | 중간 관리직의 인재 부족, 노동자의 확보가 곤란 |
소비 시장으로서의 가능성이 높음 | 여름철의 전력 부족에 대한 우려 |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2. 남부의 특징(3) 호치민 등 (0) | 2023.01.17 |
---|---|
171. 남부의 특징(2) (2) | 2023.01.15 |
169. 중부의 생활환경 (0) | 2023.01.11 |
168. 중부의 임금 수준과 마켓 (0) | 2023.01.09 |
167. 중부의 근로자 관리 (0) | 2023.0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