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까지 회계와는 인연이 없었던 분도 해외 지점에 오면 볼 필요가 생기기도 합니다. 이런 분들을 위해 간단히 「베트남의 회계에 대하여」 설명해 보겠습니다.
1. 회계 기준
예전에는 베트남 남북의 회계기준이 각각 있었다고 합니다만 현재는 통일되어 국제 회계기준을 참고하면서 베트남의 독자적인 회계제도로 바뀌어가고 있습니다. 베트남에서는 2015년에 제정된 회계법, Guidance, 베트남 회계 기준(VAS)등의 룰에 따라서 회계 업무를 합니다. 베트남 회계는 계정과목 코드가 정해져 있습니다. 대항목(3자리)과 중항목(4자리)이 있습니다. 법률상으로는 명기되어 있지 않지만 실무상으로는 서브코드(5자리)를 추가적으로 작성하고 이용하기도 합니다.
2. 회계연도
베트남의 회계연도는 원칙적으로 12월입니다만 그 외에 3월, 6월, 9월로 회계연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3. 회계감사
외국계 기업은 독립된 회계 감사 법인에 의해 연차 재무제표의 감사를 받아야 합니다. 감사 보고서는 결산일로부터 90일 이내에 정부 당국에 제출합니다. 단, 설립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첫해가 3개월 미만인 경우 첫해와 다음 해를 합한 총 15개월을 대상으로 법정감사를 받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 경우에는 첫해 내에 사전에 재무부에 신고를 해야 합니다.
4. 통화와 언어
통화 단위는 원칙적으로 베트남 동(VND)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회계장부를 작성할 때에는 베트남어로 하게 됩니다. 해외와의 거래가 있는 경우에는 USD로 장부를 적는 것도 인정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종적으로는 베트남 동(VND)으로 고쳐서 정부 당국에는 제출하게 됩니다. 영어나 한국어 등의 외국어 병기를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베트남어를 표기한 후에 외국어를 사용합니다.
5. 수석 회계사 제도
설립 첫해는 회계 책임자를 임명하면 수석 회계사를 두는 것이 면제됩니다. 단, 설립 2년째부터 임명해야 합니다. 수석 회계사는 수석 회계사라는 자격을 가진 사람이 맡을 수 있습니다. 역할은 자사 회계 업무의 책임자로서 회계를 관리하고 결산 서류 등에 서명하기도 합니다. 즉 회사의 재무에 어느 정도 책임을 지게 됩니다. 설립 후 바로 고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실무상으로는 직접 고용을 하지 않고 회계 사무소에 위탁하는 회사도 있습니다.
수석 회계사 자격증은 경제학부나 회계 전문학교를 졸업하거나 대학 졸업 후 2~3년 정도 실무를 경험한 후 10만원 정도에 응시 가능한 자격증입니다. 합격률도 약 50%로 높기 때문에 모든 유자격자가 충분한 회계세무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따라서 채용할 때는 현재 의뢰하고 있는 회계사무소의 담당자도 면담에 참여해 면접자의 실력을 판단받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6. 재무제표(F/S)
주로 대차대조표(B/S), 손익계산서(P/L), 현금 흐름계산서(C/F)로 만들어집니다. 모든 외국 기업은 결산일로부터 90일 이내에 정부 당국에 법정 감사를 받은 재무제표를 제출합니다.
7. 회계 장부
회계 관련 서류 보관 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 회계장부나 재무제표 작성에 직접 사용하지 않는 서류에 대해서는 5년간 보존
● 회계장부나 재무제표 작성에 직접 사용하는 서류에 대해서는 회계연도 말부터 10년간 보존
증빙서류에 대한 작성 및 관리, 보존방법에 관하여 법령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미비점이 있으면 세무조사 등이 있을 경우 추징과세의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8. 회계 포맷
종이 뿐만 아니라 데이터로 보관도 가능합니다. 그러나 세무조사 등으로 제출이 요구될 경우 종이로 제출하게 됩니다.
9. 고정 자산
내용 연수가 1년 이상이고 취득가액이 3,000만 동 이상, 경제적으로 전망이 밝을 것이라 보이는 자산은 고정자산으로서 계상됩니다. 감가상각은 정액법, 정률법, 생산고 비례법이 인정됩니다. 정률법, 생산고 비례법은 일정 요건을 충족시켜햐 하므로 실무상 정액법이 이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비용이 발생한 후 그것이 여러 번의 기간에 걸친 자산의 경우에는 한 번 선불 비용으로서 계산합니다. 취득가액이 3,000만 동 미만 혹은 사용기간이 1년 미만이어도 단기 선지급비용 혹은 장기 선지급비용으로서 자산계상합니다. 이것을 내용 기간에 균등하게 상각 합니다.
10. 그 외
베트남에서는 영업이익 안에 영업 외 손익이 들어 있습니다. 지급 이자나 환차 손익 등도 영업 이익 안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본업의 이익이 잘 보이지 않는 점에 주의해야 합니다.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4. 베트남의 회사 형태 (0) | 2024.01.08 |
---|---|
243. 한국에 일시적으로 귀국 시의 PIT에 관해 (0) | 2023.12.18 |
241. 베트남에 가지 않고도 베트남 현지 법인을 설립할 수 있을까요? (2) | 2023.11.20 |
239. 비자 발급의 주요 절차 (2) | 2023.10.23 |
238. 노동허가서(워크퍼밋)와 1차 체류허가서(레지던스카드=거주증) (0) | 2023.10.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