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253. 베트남의 거점이 없는 공급 업체와 거래 시 세금 외

by KVT 2024. 5. 13.
반응형

  베트남에 지점이 없는 공급 업체와 거래를 하고 지불을 할 일이 있을 것입니다. 그때 외국 계약자세(FCT)가 발생합니다. 외국 계약자세(FCT)란 베트남 국외의 기업 또는 개인이 베트남의 기업 또는 개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였을 때 베트남 국내에서 발생하는 세금입니다.
 그러나 전자상거래나 디지털 플랫폼에 관한 서비스에서는 FCT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이것은 공급업체가 베트남에서 납세자 등록을 해서 직접 납세를 하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면 Google이나 Meta(페이스북), Netflex와 같은 기업은 베트남에서 많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매 거래마다 FCT를 신고하고 납부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베트남에서 납세자 등록을 하고 분기별로 직접 납세를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거래에서 FCT는 신경 쓸 필요가 없어집니다.

 단 등록을 하지 않은 기업과 거래하는 경우, 그 거래를 지불하고 10일 이내에 FCT를 신고 납부해야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꽤 촉박한 일정이므로 사전에 해외 공급업체가 베트남에서 납세자 등록을 했는지 확인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FCT의 신고납부 누락이나 지연이 있을 경우 벌칙금이 발생합니다.

 

 


 [베트남 자회사에서 베트남 매니저의 역할은?]

 베트남인 관리직이라고 하면 베트남 자회사의 사장이 한국인(외국인)인 경우 그 아래로 배치되기 때문에 부사장 이하의 관리직(매니저)의 포지션을 맡게 됩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중간 관리직, 즉 부장 정도의 베트남인의 역할로는 경영의 체계도에서 보면 「전략~계획」 부분에 해당됩니다. 그리고 그 중간 관리직(미들 매니지먼트)의 포지션이 담당하는 역할은 아래의 5가지가 있습니다.

 

1) 목표 설정
2) 조직
3) 팀 구성
4) 평가
5) 인재육성

 

이것들을 통해 성과와 이익을 내고 더 나아가기 위한 토대가 됩니다.

 

[지도형 리더와 대화형 리더의 차이점은?]

위의 1)~5)를 실행하기 전 이해해 두면 도움이 될 2가지 타입의 리더가 있습니다.
바로 지도형 리더와 대화형 리더입니다.

 

◎ 지도형 리더의 특징

혼자서 의사결정을 하고 규율을 중시하면서도 위에서 아래로 지시를 해 나가는 유형입니다.

 

◎  대화형 리더의 특징

대화형 리더의 특징은 관계성을 중시하고 동조를 얻으면서 움직여 나아갑니다.

 

 

 베트남 매니저 외에도 해당되겠지만 ①~⑤를 실행할 때 지도형 리더와 대화형 리더를 구분해서 사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①~②에 지도형 리더를 ③~⑤에 대화형 리더의 특성을 살려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