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SEAN에서 세 번째로 인구가 많은 베트남
ASEAN :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방콕 선언으로 창설된 동남아시아의 국제기구
1967년에 5개국(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싱가포르)으로 출범했습니다. ASEAN은 1984년 브루나이, 1995년 베트남, 1997년 라오스와 미얀마, 1999년 캄보디아가 가맹하여 현재 10개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IMF 통계에 따르면 2018년 총인구는 약 6억 4,750만 명, 명목 GDP는 약 2.9조 달러입니다.
베트남은 1인당 GDP로 본 소득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인구는 동남아시아 지역 내에서 세 번째로 많아 높은 잠재력을 지닌 나라입니다. 베트남의 인구는 9,895만 명(2022년)으로 인도네시아(2억 7,350만 명), 필리핀(1억 960만 명)에 이은 규모입니다. 1인당 GDP 수준은 4,122달러(2022년 7월)로 10개국 중 6번째입니다. 아시아 국가의 과거를 보면 1인당 GDP가 3,000달러를 초과하면 자동차 보급률이 늘어났습니다. 베트남 소득 수준이 향상되면서 자동차 판매 시장으로서의 주목도도 높아지겠지요.
2. ASEAN 지역 내 무역 금액 변화
ASEAN 지역 내 관세율 철폐와 각국의 경제 성장에 따라 ASEAN 국가의 무역 금액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습니다. 2018년 ASEAN 국가의 지역 내 수출 총액은 3,461억 달러로 2008년(2,507억 달러)의 1.4배가 되었습니다
베트남은 이 기간 동안 ASEAN 국가에 대한 수출액을 144 달러 늘렸습니다. 한편, 각국으로부터의 베트남에의 수출은 210억 달러 증가했습니다. 이것은 베트남은 10년 만에 ASEAN 국가로의 수출을 늘리는 것 이상으로 지역 내 국가의 수출 대상국이 되었다는 뜻이 됩니다. (144억 달러-210억 달러 = ▲66억 달러) 2018년까지 10년간 전체적인 변화로는 상대적으로 경제 규모가 큰 인도네시아,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에서 지역 내 수출이 증가하고 베트남을 포함한 기타 6개국에서는 수출처로서의 금액이 증가했습니다.
3. 임금 비용으로 비교한 베트남 위치 지정
투자 비용 비교 조사(2019년 3월)를 토대로 잔업수당과 상여 등의 연간 지급분으로부터 구해진 실질 월급여를 직종별로 산출해 하노이(베트남 북부), 다낭(중부), 호치민(남부)을 보았습니다. 이에 따르면 ① 일반적으로 중부 다낭의 임금 비용이 낮고 제조업 노동자는 하노이와 호치민보다 15% 정도 엔지니어나 중간 관리직에서는 약 30% 낮았습니다. ②하노이와 호치민 비교에서는 근로자나 비제조업의 스탭 등의 「인원을 많이 필요로 하는 직종」에서의 임금 비용은 하노이 쪽이 상대적으로 낮고 제조업의 중간 관리직이나 비제조업의 매니저 등의 「관리자(리더)급」의 임금 비용은 호치민이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베트남 주요 도시의 임금 코스트 비교
도시명 | 제조업 | 비제조업 | |||
근로자 | 엔지니어 | 중간관리직 | 사원 | 관리자 | |
하노이 | 중간 300 |
높음 600 |
높음 1,300 |
중간 780 |
높음 1,750 |
다낭 | 낮음 275 |
낮음 430 |
낮음 850 |
낮음 670 |
낮음 1,450 |
호치민 | 높음 330 |
높음 600 |
높음 1,200 |
높음 880 |
중간 1,600 |
(주) 하단은 월급(달러)
또한 베트남의 임금을 다른 ASEAN 국가 및 중국의 주요 도시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베트남 근로자의 임금은 인접한 라오스, 캄보디아, 미얀마에 비하면 높지만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에 비하면 낮은 수준입니다. 특히 방콕에 비해 호치민과 하노이의 임금 비용은 절반 정도입니다. 또한 북부 하노이는 중국 남부 광저우와의 거리는 비교적 가깝지만 하노이 근로자의 임금 비용은 광저우의 30%에 지나지 않습니다.
엔지니어와 중간 관리직에서 ASEAN 주요 도시와 임금 비용을 비교해 보면 필리핀(마닐라, 세부)의 엔지니어의 임금이 베트남 (하노이, 호치민)보다 낮습니다만 전체적으로 보면 워커와 비슷합니다.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66. 베트남의 주요 투자 촉진 및 우대 정책 (0) | 2022.08.01 |
---|---|
65. 베트남의 외국 자본 도입과 관할 관청 (0) | 2022.07.31 |
63. (베트남) 무역 구조 (2) (0) | 2022.07.29 |
62. (베트남) 산업과 무역 구조 (1) (0) | 2022.07.28 |
61. 베트남 경제 개요 (0) | 2022.07.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