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항만 개요
남북으로 긴 해안선을 가진 베트남에는 많은 항만이 있습니다. 베트남 항만협회(Vietnam Seaports Association)가 발표한 73개 항만 통계에 따르면 2018년 취급 화물량은 2.9억 톤으로 남부가 전체의 63%를 차지하고 25%를 북부, 12%를 중부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컨테이너 취급량은 1,293만 TEU로 남부가 전체의 74%, 북부는 22%를 차지하고 중부는 4%입니다. 항만별로는 호치민의 사이공 신항이 취급 화물량의 24%, 컨테이너 취급량에서는 37%로 다른 곳에 비해 압도적입니다.
베트남의 화물 취급량은 리먼 쇼크 때를 제외하고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화물의 취급량은 약 6,000만 톤으로 예상하는 한편, 국제화물의 취급량은 2010년 이후 연율 9.3%의 페이스로 급증하고 있어 2018년에는 2.3억 톤으로 화물 취급량 전체의 77.6%를 차지했습니다. 또한 항만별로는 사이공 신항의 화물 취급량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2. 북부의 항만
북부의 대표적인 항만은 하이퐁 항(하이퐁시, 딘부항을 포함), 카이란 항(꽌닌성)으로 그 외에 석탄을 싣는 항구인 캄파항 등이 있습니다. 하이퐁항은 북부 최대 상업 항구이지만 하천항이기 때문에 항로 수심은 5.5~7.2m으로 얕아 대형선이 입항할 수 없습니다.(상한 4만 톤) 하이퐁 항의 하구에는 딘부 항이 있으며 수심은 6.7m으로 4만 톤의 선박이 입항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카이란 항구는 하이퐁 항구를 보완하는 국제 상업 항구로 북부 최초의 심해항입니다. 항로 수심은 10m로 최대 5만 톤의 선박까지 입항 가능하며 2004년 6월 컨테이너 터미널이 오픈했습니다. 카이란 항구에 대한 기대는 컸지만 화물 수요는 하이퐁항 만큼 많지 않고 컨테이너 취급량도 좀처럼 늘어나지 않고 있습니다. 인근에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할롱만이 있기 때문에 추가 확장이 어려운 점도 있습니다.
앞으로 증가가 예상되는 컨테이너 화물에 대응하기 위해 하이퐁 앞바다의 락펜 지구에서 국제 심해항이 건설되어 수심은 14m이며 5~10만 톤급의 대형선의 입항이 가능해졌습니다.
3. 중부의 항만
중부의 중심 항구는 다낭 항(=티엔사 항, 다낭 시), 퀴논 항(빈딘 성), 게틴 항(게안 성)이지만 각 항의 점유율은 북부나 남부만큼 특정 항구에 집중되어 있지 않습니다. 2018년 중부의 컨테이너 취급량은 다낭항이 25%, 꾸이뇬항이 24%, 게틴항이 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낭항은 수심 10m 이상이며 4.5만 톤급의 배가 입항 가능합니다. 꾸이뇬항에서는 2013년 신부두가 있어 항로 수심은 11m으로 3~5만 t 급 컨테이너선이 해안에 닿을 수 있습니다..
4. 남부의 항만
남부에는 수많은 항만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사이공 신항, 사이공 항은 컨테이너 취급량이 많습니다. (두 항구에 벤·게 항, 베트남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 (VICT)을 더해 「사이공 항」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모두 하천항이기 때문에 3만 톤급의 선박만 들어올 수 있지만 화물이나 컨테이너의 취급량은 매우 많습니다. 이 때문에 남부에서 많은 항만 개발 계획이 진행되어 특히 호치민시의 남쪽에 위치한 배리어·붕타우성의 카이멥 강·치바이 강의 항만군에 대한 기대는 큽니다. 2009년 80,000 톤의 대형 컨테이너 선박이 들어올 수 있는 항만이 완성되어 북미용 대형선이 머무르기 때문에 국내외에서 화물이 모이고 있습니다. 후미 항도 같은 항만군에 위치합니다.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9. (베트남) 물류·기반시설 (3) - 도로 (0) | 2022.09.27 |
---|---|
118. (베트남) 물류·기반시설 (2) - 공항 (0) | 2022.09.25 |
116. (베트남) 노사 관계와 노동허가증 (2) | 2022.09.21 |
115. (베트남) 노사 문제(노사 분규)의 해결 (0) | 2022.09.19 |
114. (베트남) 고용 (4) - 사회보험 및 건강보험 (0) | 2022.09.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