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140. (베트남) 지역별 특징(1)

by KVT 2022. 11. 8.
반응형

:: 베트남 지역별 분류

 남북으로 긴 국토를 가진 베트남은 그 역사, 지리, 기후, 풍토로 인한 발전 형태의 차이 등에 따라 보통 북부, 남부 두 지역으로 나누어집니다. 역사적 배경으로 보면 19세기 이후에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아래에서 북부, 중부, 남부가 각각 다른 식민지 체제하에 놓이거나 제네바 협정 가입으로 설정된 북위 17도선의 군사 경계선에 의해 남북으로 분할되는 등 여러 번 지리적으로 분단되어 왔습니다. 1976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남북이 통일되기 이전에는 「북쪽은 사회주의 체제」, 「남쪽은 자본주의 체제」로 정치 경제 체제도 달랐습니다. 남베트남에는 시장 경제 체제 도입 기반이 정비되어 있었기 때문에 외국자본의 유입 상황에 대해서도 남베트남이 압도적으로 리드해 온 역사가 있습니다.

 또한 북부 홍강 삼각주와 남부 메콩 삼각주는 베트남의 농업 생산량의 약 50%를 차지하는 곡창지대이지만 각각의 삼각주에서 길러진 농민의 특징이 지역의 사람들의 기질에 영향을 주었다고도 하며 베트남에서 북부 사람은 「참을성 있고 견실하다.」고 하며 남부 사람은 「느긋하고 그날 벌어 그날을 사는 하루살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역사적 경위 외에도 지리적으로 중국에 인접한 북부와 ASEAN(캄보디아)에 인접한 남부, 사계절이 있는 북부와 항상 여름인 열대의 남부로 비교해 말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북부는 행정 도시 하노이를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남부는 경제 도시 호치민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어 두 도시의 관계를 중국의 베이징과 상하이의 그것에 비유할 수도 있겠습니다.

 베트남 통계에서는 홍강 삼각주, 북부 내륙·산간 지역, 북중부·중부 연안 지역, 중부 고원, 남동부 메콩강 삼각주의 6개 지역으로 나누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 포스트부터 지역편으로서 홍강 삼각주와 북부 내륙·산간 지역의 「북부」, 북중부·중부 연안 지역과 중부 고원의 「중부」, 남동부와 메콩강 델타의 「남부」로 나누어 각각의 지역의 특징 등을 올리려고 합니다.

 북부와 남부 다음의 지역으로 중부는 베트남 제3의 상업 도시 다낭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는 지역이지만 북부와 남부의 눈부신 발전에 비하면 약간 개발이 늦어지고 있습니다. 중부는 지리적으로 길쭉한 지형으로 산맥이 있으며 기후도 좋지 않기 때문에 농업 생산량의 성장도 둔하며 공업 기반도 취약합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중공업, 관광업 및 IT 산업 투자가 증가하고 있어 이제부터의 발전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2년 베트남 총 인구는 약 98,95만 명으로 북부와 남부에 각각 3,400~3,500만 명, 중부에 2,600만 명 이상이 분포해 있습니다. 행정 구획은 현재 5시 58개 성이며 북부가 2시 23성, 중부가 1시 18성, 남부는 2시 17성으로 구성됩니다.


 면적은 중부가 가장 넓고 전체(약 33만 ㎢)의 45%를 차지합니다. 1㎢ 당 인구 밀도 지역 평균은 북부 291명, 중부 172명, 남부 542명, 전국 기준으로 286명입니다. 특히 인구가 집중된 지역은 북부의 홍강 삼각주 지역(1,014명)과 남부의 남동 지역( 725명)입니다.

 

 

 

반응형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2. (베트남) 지역별 특징(3)  (0) 2022.11.12
141. (베트남) 지역별 특징(2)  (0) 2022.11.10
139. (베트남) 최근의 토픽(4)  (0) 2022.11.06
138. (베트남) 최근의 토픽(3)  (0) 2022.11.04
137. (베트남) 최근의 토픽(2)  (0) 2022.11.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