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177. 남부의 기반시설(3)-전기,수도 등

by KVT 2023. 1. 27.
반응형

1. 전기

 호치민시 주변 지역은 기후의 영향을 받는 수력 발전에 대한 의존도가 낮고 화력 발전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전력 사정은 비교적 양호합니다. 다만 2010년 가뭄에 의한 전력 부족이 발생했을 때 전력이 정부 관계시설이 모여 있는 북부에 우선적으로 배분되어 남부에서는 정전이 빈발했었습니다.

 

 2018년에도 여전히 지역에 따라서는 순간 정전이 발생했습니다. 정전은 이전에 비하면 상당히 빈도는 적게 일어나며 호치민시보다 주변 성에서 정전이 많이 일어났습니다. 정전의 주된 원인은 뱀이나 새에 의해 전선이 끊어지거나 공사 실수 , 크레인차 사고에 의한 전선의 끊어짐 등 다양합니다. 정전이 발생하면 생산 중의 제품이 불량품이 되지만 전력회사로부터 보상은 받을 수 없습니다. 외국 상공회에서 베트남 전력 회사에 이러한 어려움을 호소한 적이 있었지만 결국 해결에는 이르지 않아 제조업에서는 방지책으로서 백업용 전원을 설치하거나 전력 안정화 장치를 들이는 기업이 많아졌습니다. 또한 공업단지 외의 곳에서는 이러한 기반시설 정비도 진행되지 않아 정전이 많다고 합니다.

 

 공장 증가의 영향으로 앞으로 전력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는 북부, 중부로부터 전기를 받아 남부에서의 전원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계획이 늦어지면 심각한 전력 부족에 시달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호치민시에서는 에어컨 보급이 늘어남에 따라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여름에 계획 정전이 실시되고 있습니다.

 

 

2. 가스

 호치민 시내에도 도시가스는 없으며 보통 프로판 가스입니다. 남부에서도 외국계 기업의 가스 이용은 공장에서도 소량으로 사원 식당용에서의 사용이 대부분입니다. 연소 효율의 관점에서 생산 설비 보일러에는 가스가 아니라 석탄 화력과 바이오매스를 병용하고 있는 기업이 많습니다. 또한 연간 10~15% 정도 가스요금이 상승하고 있다고 합니다.

 

 

3. 수도

 공업단지 내에 있는 기업들의 물의 질과 양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는 특별히 없었습니다. 공업 단지마다 배수의 배출기준이 설정되어 있으며 2~3개월에 한 번 정도 환경 경찰이 물을 떠 가서 하는 체크를 하고 있습니다. 현재 공장을 세울 때 정수 설비의 설치가 필수는 아니지만 최근 정부가 환경 문제에 대해 엄격해지고 있는 상황을 감안해 미래의 리스크를 고려해 정수 설비를 설치했다는 기업도 있었습니다.

 

 

4. 통신

 베트남 전 지역에서 통신환경은 매우 양호한 편이며 웬만한 나라보다(한국 제외) 인터넷 속도가 빠르다고 합니다. 따라서 기업에 따라서는 CAD나 QR코드를 이용하는 등 공장 내 IT화도 진전시키고 있습니다. 해외의 데이터센터 등을 이용하는 외국계 기업은 광해저 케이블의 베트남 지선이 (예 : 상어에 의해) 잘리거나 하면 통신 속도가 크게 저하되는 등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호치민 시내에는 무료 Wi-Fi가 설치되어 있는 곳(쇼핑몰, 레스토랑 등)이 많습니다.

 

 

 

반응형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9. 남부-인력관리  (0) 2023.01.31
178. 남부-구인  (0) 2023.01.29
176. 남부의 기반시설(2)-도로,철도 등  (1) 2023.01.25
175. 남부의 기반시설(1)-항만, 공항  (0) 2023.01.23
174. 남부의 공업단지  (2) 2023.01.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