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포스트를 보시려면 아래를 클릭해 주세요.
2024.02.05 - [베트남] - 246. 베트남 국내에서의 채용 방법에 대해(1)
::: 회사의 직접고용 이외의 방법
1. 파견
다른 나라들처럼 베트남에도 「근로자 파견」 사업 면허(License)를 가진 인재 소개 회사가 여러 곳 있습니다. 이 비즈니스 라이선스에는 만료일이 있으며 서비스 제공 업체는 비즈니스 라이선스를 연장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외국과 마찬가지로 파견이 인정되는 직종은 한정되어 있습니다. (베트남 국내에서의 파견에 한정)
기본적으로 파견기간은 12개월로 정해져 있으며 파견기간 종료 후 서로의 합의가 있으면 소개비를 지불하고 회사 고용으로 전환될 수도 있습니다.
베트남에 진출한 외국계 기업에서도 많은 인재를 채용해야 하는 제조 현장이나 판촉 스탭 분야 등에서 서서히 도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베트남에서는 제조나 판매 등의 분야에서 먼저 도입되고 있으며 사무실 근무자나 엔지니어 등 대졸 인재의 파견에서는 이제부터 점점 확장되어 갈 영역으로 보입니다.
2. 하청 계약
회사가 외국 현지에서 공장 등을 정하기 전에 해외 생산 리스크나 부담을 낮추는 「하청 업무 계약」을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고급 제조 기술자를 가진 인재 서비스 회사도 있습니다.
::: 인재 서비스 회사를 선택하는 방법
베트남 국내의 외국계 혹은 과거에 외국인 사원이 근무했던 인재 소개 회사를 인터넷에서 검색해 보면 50여 개 회사가 나옵니다. 그러나 이미 철수한 기업도 있고 외국계 기업의 대응 여부도 다양합니다.
베트남의 각 회사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내용은 각각 다를 수 있으며 베트남 국내나 동남아시아에 특화된 회사도 있습니다. 따라서 지명도나 자신이 느낀 인상만으로 결정하지 말고 적어도 두세 곳 정도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컨설팅 회사가 생각하는 인재 소개 회사를 선택할 때의 포인트입니다.
▣ 대응되는 인재 요구의 범위나 특기 분야에서 선택한다.
베트남 국내 인재 서비스 회사는 외국인 채용을 잘하는 회사이거나 베트남인 채용에 특화된 회사 등 각각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구직자의 기술도 각 회사의 등록자 데이터베이스마다 특징이 다릅니다. 또한 제조 근로자 모집 등에는 꼭 외국계 인재 서비스 회사만 대응하는 것이 아니고 전문 기업에서도 상담이 가능합니다. 인재 소개 서비스 외에 파견과 하청, 외국에서의 베트남인 채용을 잘하는 회사 등 여러 가지이므로 회사의 채용 조건에 맞는 인재 서비스 회사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베트남인 구인구직 활동에 있어서 주의점 등의 어드바이스를 주는 회사
면접에서는 한국과 비슷하게 주의해야 할 점에 주의하면 문제가 없지 않을까 싶지만 이직에 관한 사고방식이나 문화, 풍습 등에서 한국과 베트남은 다른 면이 많은 것 같습니다. 또한 베트남인 구인구직 활동은 속도가 빠르고 적절한 면접 횟수와 결과 답신 속도 등 채용 활동의 기간에 관한 조언을 주는 회사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직종 채용 난이도마다 다릅니다.)
▣ 노동법 변경 등 인사에 관한 정보를 적시에 파악하고 있는 회사
특히 베트남 현지 외국인 채용에서 비자나 워크퍼밋에 관련되는 법률 변경에 대해서 적시에 정보를 모으고 있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채용되었는데 신청이 통과되지 못해 근무 개시일이 연기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인재 소개 회사 자체가 신청 방법 등을 조언하는 것은 아니지만 취득 난이도 등을 파악하고 있으면 채용 계획을 세우기 쉬워질 것입니다. (비자 취득 서비스를 유료로 하고 있는 인재회사도 일부 있습니다.)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9. 베트남 자회사를 현지화 할 때의 유의점(1) (0) | 2024.03.18 |
---|---|
248. 동반 비자(TT비자)의 스케줄 및 필요 서류 (0) | 2024.03.04 |
246. 베트남 국내에서의 채용 방법에 대해(1) (0) | 2024.02.05 |
245. 유한회사 사장의 자격 요건 (0) | 2024.01.22 |
244. 베트남의 회사 형태 (0) | 2024.0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