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127. (베트남) 주요 산업-자동차(3)

by KVT 2022. 10. 13.
반응형

1. 세단의 인기가 높은 국내 시장

 베트남의 자동차 시장의 특징은 세단의 비율이 높다는 것입니다. 베트남 자동차 제조 협회(Vietnam Automobile Manufacturer Association: VAMA)의 자동차 판매 통계는 2015년에 카테고리의 처계가 바뀌었기 때문에 과거와의 비교는 어렵지만 국내 자동차 판매 대수의 추이를 보면 승용차의 구성비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2018년 승용차의 구성비는 69.4%와 비교 가능한 2015년 56.2%부터 상당히 상승했습니다.

 승용차의 여러 카테고리 중에서 세단의 인기가 높습니다. 세단은 승용차 판매량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판매 대수가 많은 것이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 (Sport Utility Vehicle : SUV), 미니밴 (Multi Purpose Vehicle: MPV)입니다. SUV는 승용차의 약 20%, MPV는 약 10%에 해당합니다. 

 

 

2. 자동차 판매 시장에서 제조업체 각 회사의 점유율

 베트남 자동차 시장은 도로를 달리는 차들만 봐도 일본의 완성차 메이커 점유율이 높아 보입니다. 2018년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은 도요타 자동차가 23.8%(1위), 마쓰다가 11.8%(2위), 혼다 기연 공업이 9.8%(5위)와 상위 5사 중 3사를 일본 브랜드가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또한 미쓰비시 자동차(3.7%), 이스즈 자동차(2.7%), 스즈키 (2.5 %), 히노 자동차(1.0 %) 등을 추가하면 자동차 시장의 55.5 %를 일본 기업이 차지합니다.  90% 이상이 일본차라는 태국과는 달리 베트남에서는 한국의 현대와 기아도 많이 보이며 현대는 많은 편리한 기능과 가성비 좋은 차로 점점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타국의 외국 완성차 메이커에서는 한국의 기아차가 10.5%(공동 3위), 미국 포드가 8.9%(6위), GM이 4.5%(7위)였습니다.

 단, 메이커 별로 보면 추옹하이(Truong Hai Auto Corporation:THACO)가 가장 큽니다. 추옹하이는 1997년 전신 회사가 설립된 현지 완성차 메이커로 한국의 기아 자동차, 일본의 마쓰다, 프랑스의 푸조의 각 브랜드의 승용차의 생산·판매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추옹하이의 시장 점유율은 34.7%로, 도요타 자동차(도요타, 렉서스 합산)의 24.0%를 능가합니다.

 

 

이전 포스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2022.10.09 - [분류 전체보기] - 125. (베트남) 주요 산업-자동차(1)

 

 

2022.10.11 - [분류 전체보기] - 126. (베트남) 주요 산업-자동차(2)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