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131. (베트남) 주요 산업-봉제

by KVT 2022. 10. 21.
반응형

1. 수출 증가와 함께 늘어나는 봉제 부분의 무역 흑자

 봉제업은 「전화기기·음향기기」와 함께 베트남의 중요한 수출산업입니다. 봉제 관련(섬유, 직물, 의류 포함) 분야는 1999년부터 수출이 수입을 웃도는 결과가 계속되고 있으며 2018년에는 177억 달러의 무역 흑자를 이루었습니다.(UNCTAD 기반) 수출액도 해마다 늘어나고 있으며 최근에는 베트남에 진출한 관련 외국기업이 늘어나 앞으로 수출이 확대되는 속도 이상으로 무역 흑자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일본, 미국의 「탈중국」으로 인한 이익(merit)을 가장 얻은 베트남

 베트남은 타국에 비해 중국의 점유율을 베트남으로 가져오는 것에 성공했는데 이것은 베트남의 봉제 관련 수출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중국은 인건비 급등의 영향으로 의류산업의 생산 거점으로서의 매력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의류 수입 상대국 비율을 보아도 2011년까지 전체의 80% 이상을 중국이 차지하고 있었지만 2018년에는 60% 미만으로 급속히 저하되었습니다. 또한 세계 최대의 의류 소비국이며 해외로부터의 수입액이 최대인 미국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습니다. 미국 센서스국의 통계에 의하면 미국의 봉제품(미국 센서스국 “International Trade Statistics”, NAICS Code: 315) 수입에 차지하는 중국 제품의 비율은 2004년의 18.6%에서 2010년에 40.9%까지 급상승했습니다. 그러나 2018년에는 34.0%로 약 7% 포인트 떨어졌습니다. 이 추세는 2019년 이후로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2019년 1~8월 누계액으로 비교하면 중국에서의 수입 비율은 전년 동기 대비 미국에서는 1.3% 포인트 떨어졌습니다.

 

 이처럼 「탈중국」이 진행되는 가운데 방글라데시나 미얀마 등 노동 비용이 낮은 나라에서 점유율이 상승하고 있지만 베트남 점유율의 성장은 이들 국가보다 큽니다. 베트남은 저렴하고 많은 노동력뿐만 아니라 지리적으로도 봉제산업의 공급망이 구축된 중국에 가장 가까우며 원단이나 버튼 등의 부자재에 관련된 조달의 발주에서 배달까지의 시간(lead time)을 봐서도 타국보다 좋은 환경에 있다는 점이 최대의 이동처가 된 한 원인인 것 같습니다.

 중국으로부터의 점유율 확보를 지속할 수 있게 하는 열쇠로는 ①공급력의 확대 여지, ②달러 베이스로 보는 임금 상승률로 예상됩니다. 노동 집약형의 봉제 산업에서는 노동 비용이 낮은 국가로의 생산 이동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시장 규모가 큰 미국 수출의 증가에는 저렴한 노동력이라고 하는 「양」과 발주에서 배달까지의 시간(lead time)의 단축이나 원료에 대한 제품의 비율 향상 등의 「질」도 포함한 공급력 향상이 요구됩니다. 또한 지금까지의 베트남은 10 %가 넘는 임금 인상률이 있더라도 베트남 통화(동)가 싸서 달러 기반 노동 비용이 억제되었지만 앞으로 환율과 임대 인상률에 따라 베트남의 점유율 확보의 페이스가 둔화할 위험이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