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로자 확보
베트남 현지에서는 근로자를 구하기 어렵다는 의견은 별로 없습니다. 그런데 지금 바로 현장 투입이 가능한 중간 관리직이나 한국어를 할 수 있는 엔지니어, 외국 회사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인재의 확보는 쉽지 않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외국 기업의 대규모 공장 설립으로 인해 애써서 키운 인재가 빼돌려지는 일도 자주 있습니다. 또한 많은 기업들은 신규 졸업자를 대상으로 미리 인재를 키워가는 장기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대학으로부터의 인턴쉽의 수락이나 기부 강좌나 장학금 제도를 마련하여 대학에서 정기적으로 인재를 확보하는 등 여러 방법을 도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제조업의 경우 노동자는 공장 주변, 직원은 시내에서 통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007년 1월 베트남 최대 IT 기업, FPT Corporation으로 하노이에 FPT 대학이 창설되었습니다. 이 대학은 학생들에게 외국어와 IT를 가르치고 외국어를 할 수 있는 소프트 기술자의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어 현지 외국계 기업들로부터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이퐁에는 베트남 해양 대학, 하이퐁 제과 대학, 하이퐁 대학 등 많은 대학이 있습니다.
(표 01) 하노이시에 위치한 주요 대학
학교명 | 특징 |
베트남 국가대학 하노이 학교 |
전일제(4년) 하노이 대학으로 알려져 자연과학, 인문 사회 과학, 공학, 교육학부가 있습니다. 재학생 : 약 3만명 |
하노이 공과 대학 | 전일제(5년), 재학생 약 2만 5천명. 기계, 정보, 전자·통신 공학부 등. 설계는 3D CAD를 사용. |
베트남 국가 농업 대학 | 전일제, 재학생 약 38,000명. 농학과, 동식물과 등 14학부. 농업 대학으로는 베트남에서 가장 오래되었습니다.(1956년 설립) |
하노이 무역대학 | 전일제(4년 반), 재학생 약 7,000명. 외국어 전공자도 있습니다. |
하노이 국민경제대학 | 전일제(4년), 재학생 약 4만5천명. 경제학, 경영학, 회계학, 금융 이론 중심이며 졸업생은 공산당, 정부·관공청, 민간 기업에 많이 배출됩니다. |
(출처) 「Ranking Web of World Universities」 각 대학 웹사이트에서 작성
구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면 공장이나 현장 노동자는 공업 단지의 정문이나 회사 공장 앞의 게시판에 모집 요강을 내거나 공업 단지 관리 위원회의 소개센터에 의뢰하는 경우가 많으며 신문·라디오나 웹사이트 등 미디어를 통해 모집하는 기업도 있습니다. 또한 근로자 간의 커뮤니티를 통한 모집도 있으며 사원, 엔지니어 등은 신문 광고, 인터넷, 게시판 알림 등으로 모집합니다. 또한 현지 조사에서 산업 단지 내의 네트워크를 고려해 같은 단지 내에서는 채용(빼돌림 우려)하지 않고 다른 한국계 기업으로부터 응모가 있었을 때는 그 기업에 확인을 해보기도 한다고 합니다.
이직률은 기업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당연히 월급이 비교적 높고 복리후생이 좋은 기업의 정착률이 높습니다. 기본적으로 베트남에서 노동자는 월급이 높은 쪽으로 옮겨갑니다. 퇴직 사유는 종종 가정사(병, 육아), 유학, 통근 문제(너무 멀거나 불편) 등입니다.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3. (베트남) 고용계약과 근로자 평가 (0) | 2022.12.04 |
---|---|
152. (베트남) 인재 관리 (0) | 2022.12.02 |
150. (베트남) 북부의 기반시설-전기 수도 가스 인터넷 (0) | 2022.11.28 |
149. (베트남) 북부의 기반시설-철도 교통 (0) | 2022.11.26 |
148. (베트남) 북부의 기반시설-항만 공항 도로 (0) | 2022.1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