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154. (베트남) 임금 수준과 북부 시장

by KVT 2022. 12. 6.
반응형

1. 임금 수준

 2019년 법정 최저임금(월액)에 근거해 북부에서는 ①하노이시와 하이퐁시의 구(區)지역이 418만 동(약 200,000원), ②구(區)지역 이외의 하노이시와 하이퐁시가 371만 동(약 180,000원), ③하이즌성, 박닌성, 꽝닌성의 일부 지역이 325만 동(약 150,000원), ④ 기타 지역이 292만 동(약 140,000원)의 4단계로 구분됩니다.

 외국계 기업의 고졸 근로자의 임금은 일반적으로 법정 최저 임금에 교통비, 식사 수당 (현물로 지급하는 경우도 있음), 리더 수당, 외국어 수당 (일정 수준에 도달 한 근로자에 ​​대해 지급), 개근 수당, 주거 수당 등 각종 수당을 모두 더한 것이지만 그 지급 상황은 기업에 따라 다양합니다.

 외국 기업 네트워크가 있는 공업 단지에서는 인건비와 직원 복지 등이 큰 관심사이므로 그 외국 기업들은 서로 한 달에 한 번(이상?) 등 정기적으로 정보 교환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2. 시장이라는 관점에서 본 북부

 하노이 시의 1인당 GRDP(역내 총생산: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는 5,106달러로 자동차 등의 내구 소비재의 구입이 늘어나는 3,000 달러의 수준을 크게 넘어 소비 시장으로서의 매력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베트남 교민(외국 거주 베트남인. 베트남 전쟁 중부터 종전까지 국외로 탈출한 사람들을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송금이 많은 남부와 (베트남에서는 공무원의 부업이 인정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북부에는 부수입을 가진 관료가 많아 구매력은 액면 소득 이상으로 (아주) 높다고 합니다.

 또 1년 중 테트(음력설) 때는 소비량이 가장 늘어납니다. 최근 몇 년 동안 베트남에서도 고급 물품을 지향하는 구매층이 늘어나고, (냉장고∙세탁기∙건조기 등의) 가정용 가전의 판매도 늘고 있습니다. 오토바이는 계속 상승세의 매출을 보이고 있으며 2007년 이후부터는 자동차의 판매 대수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북부는 남부와 비교하면 사계절이 있기 때문에 기후 영향을 고려한 마케팅이 요구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