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의 토지사용권을 임대해서 공장을 건설하는 경우와 임대공장을 빌리는 경우 어떤 진출방법이 가성비가 좋을까요?
:: 15년 이상 투자를 할 경우에는 토지사용권 쪽이 이득일까요?
보통 「12~15년」 이상이라면 그렇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임대할 임대공장의 면적과 임대할 토지사용권의 면적, 거기에 공장 건설비의 가격 등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양쪽의 비용을 비교해 보기 위해서는 「15년」에 주목해봐야 합니다.
예를 들어 5,000㎡ 공장에서 생산활동을 할 경우
(달러원 환율 계산은 알기 쉽게 1달러=1,000원이라고 하겠습니다.)
[토지사용권을 임대할 경우 초기비용] : 45억원
· 토지사용권 임대비용 (기반시설 조성비) :
150 USD × 10,000 ㎡ = 1,500,000 USD
· 공장 건설비 : 3,000,000 USD
건설비는 ㎡ 600 USD × (간단히 바닥면적) 5,000㎡으로 계산하겠습니다.
건설업자가 외국계인지 현지 회사인지에 따라 가격은 크게 달라집니다.
1,500,000 USD + 3,000,000 USD = 4,500,000 USD
◎ 한국원 환산 (1,000원/USD) = 45억 원
[임대공장에 입주하는 경우의 초기비용] : 3억 3천만 원/연간
· 임대공장비 :
5.5 USD/㎡ × 5,000 ㎡ × 12개월 = 330,000 USD/1년간 임대료
◎ 한국원 환산 (1,000원/USD) = 3억 3천만 원
45억 원(토지사용권 임대 + 건설비) ÷ 3억 3천만 원(임대공장 연간비용) = 13.636363...
= 13.6년
위의 계산대로라면 13년 이상이라면 임대공장에 입주하는 것보다 토지사용권을 구입하는 편이 낫다는 계산이 나옵니다만 위의 계산은 어디까지나 크게 어림잡아 계산한 숫자입니다.
실제로는 (위의 계산도 포함해서) 토지사용권의 임대에는 ㎡0.5~1 USD 정도의 연간 관리비도 들며 토지의 상태에 따라 더 큰 초기비용이 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임대공장을 봐도 관리비가 따로 드는 경우도 있고 입주 때 내부공사비 등이 들기도 합니다.
또 임대 단가가 싼 공업단지를 선택하거나 건설비를 낮추는 경우도 있으며 토지사용권의 임대비용을 낮추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기업의 진출 상태 · 투자 조건에 따라 토지사용권과 임대공장 어느 쪽이 나은 지는 조건에 따라 계산되는 년수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획을 세우실 때 크게 15년 이상 진출(투자)하는 경우는 토지사용권을 임대하시는 것이 비용면에서 이점이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6. EPE와 Non-EPE 검토 시 주의점 (0) | 2023.03.06 |
---|---|
195. EPE (수출 가공 기업) 우대 및 통관 절차 (0) | 2023.03.04 |
193. 베트남의 토지 제도, 토지사용권 (0) | 2023.02.28 |
188. 베트남에 진출한 기업들의 조언(4) (0) | 2023.02.18 |
187. 베트남에 진출한 기업들의 조언(3) (0) | 2023.0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