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급증하는 초부유층
영국 부동산 컨설턴트 Knight Frank의 보고서 Wealth report(2019년판)에 따르면 2018년의 초부유층(투자 가능 자산 3,000만 달러 이상, Ultra-High Net-Worth Individual: UHNWI)은 142명이었습니다. 전년 대비 5% 증가이며 2013-2018년에는 29% 증가하여 보고서의 각 나라 중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베트남 다음으로는 아일랜드(27%), 필리핀, 중국(26%)이 이어집니다. 2018-2023년에는 베트남에서 초부유층의 평균 증가율은 더 늘어나 31%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9년 2월에 발표된 미국 경제 잡지 Forbes의 세계 부자 순위 따르면 베트남에서는 부동산 대기업 Vin Group의 Phan Nhat Vuong 회장이 최고위를 차지하며 자산 66억 달러(주 01)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그 밖에 LCC Vietjet Air의 가장 큰 Nguyen Thi Phuong Thao 사장 겸 CEO, Truong Hai 자동차의 Tran Ba Duong 회장 등 5명이 랭크에 들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Vuong 회장은 베트남인 최초의 톱 200이 되었으며 Thao 사장 겸 CEO는 베트남 여성으로서는 첫 빌리오네어가 되었습니다. 이들은 모두 신규 사업의 창업자입니다.
(주 01) Forbes 부자 순위의 자산 산출에는 거주용 부동산이나 수집품, 소비재, 내구 소비재가 포함되어 있어 투자 가능 자산과는 정의가 다릅니다.
2. 외국 기업이 직면하고 있는 과제와 그 대응
지적 재산권 침해 문제로 외국계 기업에서는 중국에서 여러 나라의 기업 제품의 모조품이 유입되고 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시장 등에서는 이러한 가짜들을 모아놓고 파는 전문 가게가 있다고도 하지요. 당연히 진품과 달리 내용물 자체의 질이 다르고 시간이 지나면 가짜라는 것을 곧 알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인쇄 기술이 좋아져 그럴듯한 겉포장 등으로 일반인이 보았을 때는 구별이 거의 어렵기도 합니다. 아직 결정적인 대책은 어렵지만 당국에 조사와 검거를 부탁하고 범인의 특정이나 모조품의 압류 등 꾸준한 대응을 취해 왔습니다.
그 외 노동법 개정 문제(레이오프 : 노동자의 일시 해고) 등도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이 법 개정의 대응책으로 계약 갱신 전에 재고용하는 등으로 대응을 하는 기업도 있다고 합니다.
'베트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92. (베트남) 환경 보호의 법 체계 (2) (0) | 2022.08.27 |
---|---|
91. (베트남) 환경 규제(1) (0) | 2022.08.26 |
89. (베트남) 지적재산권 (2) (0) | 2022.08.24 |
88. (베트남) 지적재산권 (1) (0) | 2022.08.23 |
87. (베트남) 용지/토지 취득 (0) | 2022.08.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