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태국

2. Why Thailand? - 왜 태국일까요?

by KVT 2022. 5. 29.
반응형

# Market Size of ASEAN

 

GDP : USD 483,739,000,000

Population : 70,074,629명 (2022년 추계)

 

Thailand&Neighbor


 태국은 아시아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빠르게 성장하는 CLMV(캄보디아, 라오스,미얀마,베트남) 지역과 잘 연결되어 있으며 다양한 교통 수단을 통해 다른 아세안 국가에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CA아시아의 북쪽과 서쪽 경계 너머에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크고 6위의 경제시장인 중국과 인도가 있습니다. 이 주변국들과 인접한 경제 강국은 국경 간 무역 및 투자를 위한 방대한 기회를 제공하고 이러한 태국의 전략적 위치는 세계적 수준의 운송 인프라와 결합되어 지역적으로 이상적인 투자 목적지가 되고 있습니다.

출처 : World Bank

 


위치 :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 반도 중앙

수도 : 방콕

면적 : 513,120.0km2 (세계 51위)

화폐 : 바트(THB)

국가번호 : +66

전압 : 220V / 50Hz


 

# 안정적인 경제와 탄탄한 수출기반

 태국의 GDP는 지난 몇 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습니다. 국가 경제사회 개발 위원회(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uncil)는 2018년 태국의 GDP 성장률을 4.2%로 추정하고 2019년 GDP 성장률을 3.5~4.5% 범의로 예측했습니다.

 동시에 태국은 수출에도 강합니다. 2017년에 유망한 수출가치 2,500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고무 타이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장치 및 자동차를 포함한 많은 제품의 최고 수출국입니다.

 

 세계은행(World Bank)는 태국 경제에 대해 올해 2022년 경제 성장 예상치를 3.5~4.5%에서 2.5~3.5%로 하향 수정했습니다. 이것은 주로 물가상승, 러시아-우크라이나 간의 충돌과 중국의 대규모 봉쇄 때문이며 최악의 경우 2.6%에 그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기타 동남아시아 국가는 인도네시아 5.1%, 말레이시아 5.5%, 필리핀 5.7%, 베트남 5.3%, 캄보디아 4.5%, 라오스 3.8%, 미얀마 1%로 전망되었습니다.)


# 세계시장에서의 태국의 위상

고무 타이어 수출 5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수출 2위

컴퓨터 장치 수출 6위

집적 회로 수출 12위

자동차 수출 16위


 

# 지역과 국제 협력 - 태국의 FTA 네트워크

아시안 국가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캄보디아, 말레이시아, 싱가폴,필리핀,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그 외 FTA 파트너

한국, 중국, 일본, 인도, 호주, 뉴질랜드, 페루, 칠레

출처 : 아시아 경제 은행


 자유 경제 정책이 있는 개방 경제인 태국은 아시안 자유 무역 협정(AFTA) 외에도 많은 자유 무역 협정(FTAs)에 가입했습니다. 이를 통해 태국의 기업들은 다른 9개의 주변 아시안 회원국을 제외하고도 한국, 중국, 일본, 호주 및 뉴질랜드와 같은 주요 글로벌 경제를 포함하여 17개 국가와도 거의 관세가 없는 무역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유 무역을 추구하고 글로벌 공급망의 핵심 플레이어가 되겠다는 약속을 강화하기 위해 태국은 지역 종합 경제 파트너쉽(RCEP)의 협상 과정에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태국은 태평양 횡단 파트너쉽(CPTPP)에 대한 포괄적이고 진보적인 협정에 참여하는데 관심을 표명했습니다. 일단 시행되면 이러한 주요 거래 연합들은 모든 규모의 기업에 해외 시장에서의 추가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참고 : ASEAN은 브루나이 다루살람,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PDR,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등 10개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RECP는 ASEAN과 6개의 아시아 태평양 국가(한국, 호주, 중국, 인도, 일본, 뉴질랜드) 사이에 제안된 자유 무역 협정(FTA)입니다.

 

# 선도적인 외국인 직접 투자 목적지

투자 목적지로서 태국의 FDI 주식은 2008년 950억 달러에서 2017년 219억 달러로 급등했습니다. (10년 동안의 복합 연간 성장율(CAGR)은 9.72%입니다.) 4년 연속으로 2018년 상반기에 증가세를 보이며 2019년에도 내내 계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태국 경제는 향후 몇 년간 무역 및 투자의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태국 정부는 외국 기업과 현지 기업 모두를 위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하겠다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 투자자를 촉진하기 위한 광범위한 계획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주목할 만한 예 중 하나는 「규제 단두대」 계획으로 불필요하거나 사업 운영에 장애물로 작용하는 법률 및 규정을 제거 및 간소화 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다른 노력과 함께 사업 용이성을 위한 태국의 국제 순위를 크게 향상시키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 글로벌 랭킹

비즈니스 지수의 용이성 2019 27위

글로벌 경쟁력 순위 2018 38위

세계 디지털 경쟁력 순위 2018 39위

물류 성과 지수 순위 2018 32위

출처 : 세계 은행, 세계 경제 포럼 및 IMD 비즈니스 스쿨


 

 

 

반응형

'태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BOI 특혜  (0) 2022.06.02
5. 공장 건설  (0) 2022.06.01
4. 공업 단지의 기반 시설  (0) 2022.05.31
3. 태국의 공업 단지란?  (0) 2022.05.30
1. 태국에서 공장을 소유하기 위해서는  (0) 2022.05.29

댓글